카메라를 끄고 씁니다 - 가족을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의 특별한 삶
양영희 지음, 인예니 옮김 / 마음산책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게 된 계기가 있다. 영화 쪽에 관심이 있거나 종사자라면 '양영희 감독'을 잘 알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단 한편도 관람하지 않았다. 최근 가족 다큐멘터리 3부작의 끝 <수프와 이데올로기>가 개봉했지만 관람하지 않았다. 개봉쯤 아는 기자분이 양영희 감독 인터뷰 후기를 들러주었다. 그때 솔깃했다. 선입견이란 무척 힘이 세다는 것을.

<디어 평양>, <굿바이, 평양>, <수프와 이데올로기>, 그리고 극영화 <가족의 나라> 그 어느 것도 보지 않았다. 오직 그 기자님의 인터뷰 후기를 듣고 호기심이 발동했다. 차일피일 미루다가 영화를 보기 전 에세이 《카메라를 끄고 씁니다》를 단숨에 읽었다. 가족 이야기에 오랜만에 눈물 콧물 다 빼면서 펑펑 울었던 게 오랜만이다.

앉은 자리에서 오랜만에 완독한 영화였고, 후반부로 갈수록 거의 눈물이 앞을 가려 글씨를 읽을 수 없을 정도로 울기 시작했다. 대한민국의 아픈 역사 70여 년이 이 가족의 역사와 맞닿아 있었던 거다. 근현대의 비극이 가족에게 미친 영향력을 훑어본다.

왜 선입견이 생겼는지 생각해 봤다. 이유는 북한, 재일코리안이 낯설기도 했고 잘 알려지지 않은 소재 때문이었다. 대학생 때부터 이와 관련된 영화나 강의를 들어왔는데 지금은 일 때문에 많이 놓아 버렸다. 복잡하고 마음아픈 정치적 이념의 사람들이 20대 초반에는 알고 싶지 않았을 거다.


영화가 가족과 연결되어 있다는 것만 살짝 들었던 때 일이 바쁘거나, 재미있는 영화에 치여 늘 뒷전으로 밀리지 않았나 생각했다. 하지만 잘 되었다. 지금에서라도 양영희 감독의 에세이를 읽고 영화를 연달아 볼 이유가 생겼다. 어떤 사람은 가족의 고통을 우리고 우려서 팔아 먹는다고 말하지만 양영희 감독의 가족사는 한국, 북한, 일본의 역사로서 가치가 크다.

가족이란 무엇일까? 양영희 감독은 피를 나눈 가족 때문에 애틋했고, 행복했지만 동시에 고통스러웠고 힘들었다. 조총련 간부였던 아버지와 헌신적으로 보필하는 어머니. 세 오빠를 북송 사업으로 보내고 말도 없는 슬픔과 짐을 지게 된 부모님. 양영희 감독은 어린 나이에 부모님이 결정해 준 짝과 결혼 후 곧 이혼하게 된다. 이후 유학도 가고 한국 국적을 얻었다.

가족 중 유일하게 자유를 만끽하면서도 늘 미안하고 힘들었을 마음이 예상된다. 영화를 만들고는 북한에 가끔 들어가 친지들을 만나는 일도 금지당했다. 이후 팬이라며 콘서트 티켓으로 유혹(?)한 지금의 일본인 남편을 만나기까지. 재미있기도 해서 울다 웃다 난리났었다.

어머니가 일본인 사위(아라이 카오루)에게 정성스럽게 백숙(수프)을 만들어주는 모습은 어떤 정치적 이념(이데올로기)도 필요치 않은 사랑이었다. 디아스포라, 조총련, 재일코리안 등 '파친코'의 이야기와도 맞닿아 있다. 이념 앞에 음식은 누구라도 무장해제하는 큰 무기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