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지 가드너 4
마일로 지음 / 북폴리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일로의 직업은 웹툰 작가. 취미로 시작한 식물 키우기가 매일 물시중(?) 드느라 주객전도되었다. 선인장도 말려 죽일 정도로 게으른 인간이었지만 어느새 부지런하고 빠릿한 식물 집사가 되었다.

 

여탕에 대한 이야기 여탕 보고서도 그렇고 대형견 사모예드를 키우는 경험을 쓴 극한견주도 그렇고 환상 파괴자란 소리를 들을 정도였다. 이번 주제는 바로 '식물'. 제목도 광적인 크레이지 가드너.

 

단행본으로 총 4권까지 이어 온 식덕 생활의 마지막 생활이 기록되어 있다. 똥손, 식물킬러였던 마일로는 한 뼘 더 자랐을까? 나도 집에 선물 받은 식물을 여럿 초록 동산(?)으로 보내드린 경험이 있기에 정독하면서 공부하는 기분으로 즐겼다. 식덕까지는 아니더라도 마일로가 고군분투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함께 옆에서 본 느낌이랄까? 왜인지 모르게 뿌듯해지는 기분도 들었다.

 

식물을 열정적으로 기르면서 '초록'을 좋아하게 되었다는 마일로. 다양한 초록 아이템으로 인테리어와 본인을 꾸미는데 취해있다. 초록 광인이 되어가고 있다는 웃픈 근황을 전했다. 역시나, 환경을 생각하게 되었다고도 말했다. 나도 몇 년 전부터 습관 들여온 몇몇 것들이 이제는 거의 일상이 되어가고 있는데, 모든 일에 환경을 생각해서 적용하려다 보니 몸이 피곤하긴 하다.

 

이번 편에서도 역시나 몰랐던 식물 관리 비법이 수두룩하다. 식덕들은 집에 하나쯤 소유하고 있다는 식물 온실. 테이크아웃 플라스틱 컵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게 신기했다. 온실을 위해 또 많은 돈을 쓴다는 것도 알았다.

 

거대 온실인 식물원, 정원을 구경하는 상황도 등장하는데 솔직히 나는 이런 곳이 좀 무섭다. 영화 탓인 거 같은데, 정글이나 밀림에서 일어나는 게 어찌나 무섭던지.. 식물이 인간을 가스라이팅하는 영화를 보고 싶다면 <리틀 조>를 감상해 보자!

 

 

아무튼, 식물 공포는 접어두고 다시 돌아와 보자. 집에서 많이 해봤을 거다. 잘라낸 가지와 잎을 물이나 흙에 심어서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삽목'도 공부했다. 집에 스킨답서스가 있는데 정말 이 아이가 무한 증식이라. 삽목해 분양했던 경험이 떠올랐다. 삽목은 씨앗부터 키우기 어렵거나 마음에 안 드는 모양, 웃자란 것을 바꾸기 위해 하기도 한다.

 

삽목은 줄기가 없으면 불가능한데 수경재배를 추천한다. 뿌리가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 물꽂이 할 때 햇빛을 차단하는 갈색병도 좋다. 박카스나 비타 오백 같은 병을 추천! 병 입구가 좁아야 식물이 곧은 자세로 크는데 이걸 또 잡아주는 지지볼이 따로 있단다. 씨앗을 대출하고 파종한 후 채종해서 씨앗을 갚은 씨앗은행도 알았다. 알면 알수록 정말 경이로운 식덕 세계다.

 

여기서 잠깐! 수박씨를 뱉으면서 그런 생각 해봤을 거다. 수박씨를 심으면 수박이 생길까? 마일로는 아보카도, 레몬, 멜론 등을 키워 나무로 길러냈다. 물론 열매가 생길지는 미지수지만 매우 흥미로웠다.

 

지금의 부동산, 주식, 코인 광풍 보다 먼저였던 17세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튤립 투기가 생각났다. 흡사 뿌리가 양파처럼 생겼는데 이게 그렇데 비쌌다니, 거품도 이런 거품이 없다. 참고로 이에 대한 영화가 궁금하다면 <튤립 피버>를 추천한다.

 

킥킥거리면서 읽게 되는 마일로의 만화는 일상의 사소한 소재마저 웃음으로 승화한다. 보고 있으면 이런 것도 소재가 되나 싶을 정도로 기가 막히게 포인트로 잡아낸다. 앞으로 마일로의 만화를 기다리는 이유다. 계속 열심히 식덕 생활하시고 또 다른 취미 생활도 빠져주길!

 

본 리뷰는 도서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