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로 읽는 한국 정치사 - 우리의 운명을 바꾼 결정적 순간들
김현성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7월
평점 :
품절


 

"참여하는 사람은 주민이요,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손님이다."

-안창호-

한국 전쟁을 지나 1948년 국내 최초 근대 민주 선거가 도입되며 현재까지 50여 차례가 넘는 크고 작은 선거를 치렀다. 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는 대표자를 선출하는 대의민주주의의 한 방법으로 불린다. 책은 70여 년 동안 여러 차례 지나온 '선거'를 통해 우리나라 현대사를 되짚어보고 미래를 그려보고자 했다. 민족의 역사와 반전 드라마가 가득한 정치와 선거판을 더 가까이에서 느끼고 싶어 선거관리위원회 공무원을 택하기도 했다. 잘 몰랐던 현대사를 정리해 역사 공부까지 더불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거와 관련된 TMI도 흥미롭다. 우리나라 선거 역사상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자는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만 25세 당선된 김영삼 전 대통령이고 3,5,6,7,8,9,10,13,14 대 총선에서 당선된 9선 의원의 기록도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사상 O 표차도 있었다.

동일 득표일 경우 연장자가 당선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당선인 번복으로 엎치락뒤치락 1년에 걸친 소송이 벌어진 선거 끝판왕도 있었다. 연예인과 기업인의 정치 입문도 있었다. 이순재, 정주영, 김동길, 이주일, 최불암, 강부자 등 포퓰리즘을 반영한 문제점을 남기기도 했다.

선거야말로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닌 재검토가 필요한 박빙 승부일 때도 있다. 2018년 중앙선관위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단 1표 차이로 당락이 갈린 경우는 총 13번이나 된다. 또한 선거만 끝나면 무섭게 고개를 드는 음모론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대목도 눈에 띈다. 우리나라 투표함은 대형, 소형, 행낭식 투표함 이렇게 3가지인데 최첨단 칩이 내장되어 있어 과거 독재 정권 시절, 민주화 이전 시절의 영화 같은 일은 벌어질 수 없다고 한다.

 

기표 용구의 변천사도 재미있다. 동그라미에 사람인, 선거의 시옷 모양이라는 설이 분분한 모양은 '점 복()'자다. 그전에는 'O, X, V,_' 등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었다. 그러다가 1952년 제2대 대선부터 기표 모형을 'O'로 통일했다. 기표 용구도 대나무와 탄피 등이 쓰이다가. 1985년 제12대 총선부터 플라스틱 기표 용구로 통일했다. 하지만 모양은 또 다른 오해를 불렀다. 김영삼 후보를 연상시킨다는 항의 때문이다. 인주로 인한 무효표, 번짐 등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2005년부터 인주가 필요 없는 만년 도장식 기표용구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선거 이야기를 하다 보니 영화 <스윙 보트>가 생각난다. 미국 대통령을 결정할 수 있는 단 1표를 쥐고 있는 평범한 남성의 이야기를 통해 선거의 의미를 재미있게 풀어낸 이야기다. 책을 보고 궁금하다면 케빈 코스트너 주연의 2012년 작을 찾아보길 바란다.

2022년은 두 선거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기도 하다. 20대 대통령 선거와 제8회 전국 동시 지방선거다. 내가 행사 할 수 있는 권리이자 의무인 투표권을 버리지 말고 소신 있게 쓰길 바란다. 누군가의 미래를 바꿀 수도 현재 당신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