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킬 박사와 하이드 (반양장) 펭귄클래식 31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지음, 박찬원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21세기에도 수많은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며 이중인격, 자아분열, 해리성 장애 등으로 다양한 변주로 대중문화 속에서 거듭나고 있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에 관한 소설을 이제야 읽었다.

 

 

 

안개 낀 어두운 런던 거리. 새벽 3시쯤 되었을까. 한 아이가 가로등밖에 보이지 않는 거리를 지나고 있던 찰나 여덟 살쯤 되어 보이는 소녀가 온 힘을 다해 뛰어가고 있었다. 하지만 모퉁이에서 한 남자와 부딪히게 되자 그 남자는 태연하게 소녀의 몸을 밟고서는 아이를 그대로 내버려 둔 채 떠나버렸다. 대관절 이게 무슨 일인가.

 

 

 

이 광경을 보던 엔필드는 그자의 얼굴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란다. 정상이 아닐 외모로 불쾌하고 혐오스러워 이렇게 싫다는 느낌을 받은 사람은 처음이라고 말한다. 키도 작고 왜소한 체격에 어디라고 꼬집어 얘기할 수 없지만 기형의 분위기가 강하게 남는 사내였다고 회상했다. 그의 이름은 하이드였고 이상한 문을 지나다가 꺼낸 이야기였다.

 

 

 

이 대화를 나누던 변호사 어터슨과 친구 엔필드는 사회적으로 명망 높고 선행으로 잘 알려진 지킬 박사와 하이드가 모종의 연관이 있음을 알고 소스라치게 놀란다. 그가 소녀의 부모와 합의할 요량으로 건넨 수표에 자기 이름이 아닌 도시의 유명 인사의 이름이 적혀 있는 게 아니었던가. 이후 지킬 박사는 유산을 그에게 넘기라는 유언장을 남기기도 해 둘 사이가 혹여나 지킬이 협박 받는 상황이 아닐지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하지만 그와 별개로 지킬 박사는 사람들과 너무 잘 지냈고, 그렇게 일단락되는 줄 알았지만 며칠 동안 두문불출한 지킬 대신 하이드가 거리를 활보하며 각종 트러블을 일으킨다. 두 사람은 수상함을 느꼈고 지킬이 살해당했다고 믿어 집에 급습하지만 그곳에서는 하이드 씨만이 자리하고 있었다.

 

 

 

과연 어떻게 된 일일까. 잘 알다시피 지킬 박사는 화학적 실험으로 자신의 악한 자아를 분리했다. 어릴 적부터 무의식 저편에 도시라고 있던 악하고 어두운 면을 누르는 데 지쳤던 것이다. 충동적이고 악의적인 초자아를 절대 드러내서는 안되는 억압을 건너 후미진 뒷문을 통해 동전 뒤집듯이 드러낼 수 있는 날을 손꼽았다.

 

 

 

지킬은 도덕적이고 존경받는 사람과 하고 싶은 대로 하는 무책임한 사람을 언제나 마음껏 욕구를 분출하고 싶어 했다. 이 실험은 천신만고 끝에 성공해 변신 가능한 약을 개발. 추악한 내면의 자아 하이드를 만들었지만 어느 순간 지킬은 하이드에게 잠식당하게 된다. 하이드는 지인이자 명망 높은 댄버스 커루 경을 잔혹하게 살해했고, 결국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활개 치는 하이드의 만행을 두고 볼 수 없던 지킬은 자살을 결심한다.

 

 

 

소설은 초반 두 사람이 본 것을 토대로 지킬과 하이드를 탐정소설 형태로 서술하지만 중후반부에는 지킬이 하이드로 변하는 충격적인 모습을 본 래니언의 편지, 마지막 장에 이르러 일기 혹은 회고록처럼 쓰인 지킬의 편지를 읽으면 마치 그 사람이 된 듯 이해하고 동정할 수밖에 없다.

 

19세기(1886년) 지킬 박사와 하이드를 만들어 낸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선악이 공존하는 심리소설, 괴기 소설, SF 소설의 근간이 되었다. 지금은 흔해빠진 이중, 다중인격의 시초가 된다. 그가 만들어낸 지킬은 어쩌면 자신의 페르소나일지 모른다. 지킬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총명해 장차 큰일을 할 거란 기대에 부응해야만 했다. 하지만 내면에는 사회적인 존경과 성공 외에 하고 싶은 대로, 충동적으로 하고 싶은 방탕한 그 어떤 면이 도사리고 있었다. 그동안 잘 참아 왔지만 출세와 주변의 눈 때문에 꾹꾹 참고 살아왔었다.

 

그러던 중 19세기 유행하던 초자연적 현상의 연구를 과학적으로 이용했고 드러내서는 안되었던 하이드의 모습을 보고 은근한 쾌락, 길티 플레저를 느낀다. 누구나 마음속에 있는 본연의 모습과 사회가 원하는 모습의 이중성을 적나라하게 써 내려간 수작이 바로 《지킬 박사와 하이드》다.

 

과연 악은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질문을 탐구한다. 그 악함과 죄라는 것이 상대적이기도 해 경중을 따지기 어렵지만, 본인 양심의 가책과 사회적인 법을 넘어선 일은 처벌받아 마땅하다. 내면에 하이드 같은 악이 존재하지 않는 인간이 어디 있을까. 강력한 성악설을 믿는 나로서는 이 소설이 오랫동안 잔상에 남을 것 같다. 태어나면서부터 악한 인간은 선함에 가까워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만 하는 슬픈 존재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영화로 만들어진 1931년, 1941년 작이 가장 볼만하다. 1941년 작에는 잉그리드 버그만이 나온다. 수많은 소설, 드라마, 영화의 모티브가 되었지만 대표적으로 인상적인 작품은 <헐크>, <파이트 클럽>, <미 마이셀프 앤드 아이린>, <23 아이덴티티> 등이 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