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
마루야마 마사키 지음, 최은지 옮김 / 황금가지 / 2021년 6월
평점 :

영화 <나는 보리>에서는 청각장애인 부모와 동생을 둔 청인 '보리'가 수화와 말로 세상과 가족을 이어주면서도 고요한 세상 속 혼자만 들리는 소외감을 다룬 바 있다. 오히려 농인 그룹에 속하기 위해 귀가 멀 수 있는 방법을 시도하는 장면에서 장벽의 역발상이 느껴졌다.
보리처럼 가족이 청각장애인이지만 혼자 청인인 경우 '코다(CODA)'라고 부른다. 여기서는 수화가 아닌 수어로 칭하며 개인적이고 세부적인 언어를 다뤘다.
영화 <미드나이트>에서는 청각장애인 모녀를 타깃으로 삼은 연쇄살인마가 쫓아오는 한 밤의 추격전을 다뤘다. 들리지도 말할 수도 없는 무언의 목격자는 비장애인의 눈에 답답한 존재로만 비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오해와 무관심 속에서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 밖에도 영화 <내겐 너무 소중한 너>에서는 들리지도 보이지도 않는 시청각장애를 가진 아이의 일상을 전했다. 이렇듯 최근 우리나라도 장애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통해 소통하려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어 고무적이지만 대중인 인식과 제도는 제자리걸음이라 안타깝기만 하다.
그런 와중에 만난 단비와도 같은 소설. 《통곡은 들리지 않는다》는 '마루야마 마사키'의 데프 보이스 시리즈의 세 번째 이야기다. 《데프 보이스》, 《용의 귀를 너에게》를 잇는 삼부작으로 수화 통역사의 세계를 한층 더 깊게 다루고 있다. 다양한 사례와 일본의 다층적 수화 세계를 들여다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우리나라의 수화(또는 수어) 체계도 알고 싶다는 궁금증이 더해졌다.
수화 통역사 아라이는 어릴 적 부모와 형 사이의 코다로 자랐다. 보리처럼 두 가지 말을 할 수 있어 가족 통역사로 컸다. 앞선 두 시리즈에서 일로 만나 연인이 된 미유키와 가정을 꾸려 딸 미와를 얻었고 둘째 히토미를 얻으며 네 식구가 되었다. 하지만 미와와 달리 히토미가 들리지 않아 부부는 어떻게 키울까 고민이 많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수화 통역사 아라이와 경찰 미유키 사이의 전혀 다를 두 자녀를 중심으로 청각장애인 형제자매를 둔 SODA와 청각장애인 부모와 형제자매 중 유일한 청인 CODA의 일상을 훑는다. 청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청각장애인 아이를 어떻게 키울지 고민하는 흔적도 엿볼 수 있다. 아라이 미유키 가족을 중심으로 아라이가 통역 사례를 짚으며 의료, 복지, 노동 현장의 장벽을 네 이야기로 섬세하게 그려내었다.
아예 생각조차 하지 못한 곳에서 겪는 차별은 불편함을 넘어 생명에 위협이 된다. 영화 <미드나이트>처럼 범죄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당하게 된다. 지진이나 사고가 났을 때 안내 방송을 듣지 못해 화를 당하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책에서처럼 의료 현장에서 제대로 번역할 사람도 없고 소통이 되지 않아 일분일초가 아까운 골든 타임에도 어쩔 수가 없었다.
세상은 다수의 논리로 돌아가는 것은 맞지만 소수의 불편함을 개선하면서도 다수가 행복한 곳, 진정한 복지 국가의 표상이라 생각이 든다. 비록 소설 속 지어낸 이야기지만 현장에서 수없이 들었을 에피소드들이 마치 내 이야기처럼, 가족의 고민처럼 절실하게 와닿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