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절한 독재자, 디지털 빅브라더가 온다 - 21세기 전체주의의 서막
한중섭 지음 / 웨일북 / 2021년 6월
평점 :

영화를 자주 보는 탓에 감시 사회를 다룬 소재를 접할 때면 '또 야?!'싶을 정도로 닳고 닳았다고 생각했다. 최근 본 체코 다큐멘터리 <#위왓치유>는 n 번방을 떠올리게 하고, <실크 로드>는 비트코인을 소재로 마약을 거래한 실화를 바탕으로 했기에 놀라우면서도 금세 잊히곤 했다. 하루가 다르게 디지털 범죄와 감시에 관한 뉴스는 귀가 따갑게 듣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디지털이 더해진 감시 체제는 알게 모르게 만연화되었다. 우리 일상 속에 파고들어 생각지도 못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지켜보는 섬뜩한 일이 자주 일어나는 것을 보면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는 게 훨씬 많다는 오싹한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책은 한중섭 저자가 브런치에 쓴 글을 통해 제8회 브런치북 출판 프로젝트에서 대상은 수상한 <디지털 빅브라더>를 바탕으로 했다. 감시의 역사부터 시작해 현재 디지털로 발전되며 민낯을 드러내는 사례까지 꼼꼼하게 정리했다. 고전 《1984》, 《멋진 신세계》, 《동물농장》을 읽어볼 시간 없다면 이 책 하나로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을 거 같아 추천한다.
감시의 역사는 강자가 약자를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권력으로 인류의 농업혁명 이후부터 시작되었다고 본다. 가축, 노예, 여성을 감시했던 것이 국가가 생기고 발전하며 체계가 생기자 대상 범위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었다. 즉, 감시사회란 권력을 가진 자가 그렇지 못한 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만들어진 체계다. 이후 진화를 거듭하며 판옵티콘(원형 감옥)에서 스마트옵티콘으로 발전하며 소수의 사람이 다수의 사람을 효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된 상태다.
코로나19로 디지털 체계가 앞당겨진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21세기에도 계속되고 있는 전체주의, 빅브라더의 숨은 민낯을 확인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당장 생존을 위해 밥을 먹기 위해서라도 큐알체크나 개인 정보제공 동의를 해야 하고, 길을 찾기 위해 GPS로 나의 위치도 제공된다. 열 체크를 한다고 들이민 얼굴은 그대로 데이터화되어 어딘가에 떠돈다.
오늘은 잔여 백신을 예약할 수 있으려나 하루 종일 광클하는 동안 미리 동의했던 개인 신상 및 거주 지역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니까 말이다. 코로나19 동선 확보다 신속한 조치 때문이라는 미명 아래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자위하지만 찜찜함까지 버릴 수 없는 것이다.
어째 21세기 민주화 사회로 자유와 평등을 누리고 있다는 착각 속에서 더욱 심해진 감시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헬스케어, 드론, 현금 없는 디지털 화폐 등으로 빠르게 변모한다. 전 세계 주요 도시 (현재 중국이 대표적)는 스마트 시티로 완벽하게 탈바꿈되어 있을 거란 예언은 디스토피아의 또 다른 이름 섬뜩한 미래를 그려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