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국의 어른답게 말합니다 - 품격 있는 삶을 위한 최소한의 말공부
강원국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민 MC 유재석도 카메라 울렁증으로 데뷔 초 실수를 많이 했다. 관련 영상은 검색만 해도 나오는 재미있는 흑역사다. 누구나 태어나면서 잘하는 일은 없다는 말이다. 노력으로 만들어진 재능은 평생 가고 그 사람의 모든 것이 된다.

강원국 저자도 쉰 살까지 말 없는 채로 살아왔다. 중고교 시절까지는 말을 하지 않고 듣기만 해도 되었지만 대학에 가서는 발표도 해야 하고 힘들었다고 한다. 회사를 다닐 때도 토론이나 스피치 울렁증이 도졌고, 어쩔 수 없이 불이익을 감수해야만 했다고 한다.

"어휘력은 나무의 나이테처럼 연륜을 드러낸다. 한 해 한 해 늘어가는 나이에 걸맞게 어휘도 꾸준히 늘려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고등학교 때까지 익힌 휘력 수준에서 평생 살다가 생을 마감할지 모른다."

P 63

그랬던 그가 10년 남짓 말 배우는 견습생을 자처했다. 때는 거슬러 올라 대우 김우중 회장을 모시면서였다. 그 후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밑에서 배우며 말도 준비와 연습, 복기가 필요하단 사실을 깨닫는다. 7년 동안 말로 먹고 살기 위해 메모하고 어휘를 모으고 글 쓰며 살았다. 쓰기는 말을 잘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그래서일까. 모든 일에는 노력이 필요하다. 부정적인 말보다는 긍정적인 언어를 쓰고, '~때문에'라고 이유를 찾기 보다 '~덕분에'라는 고마움을 감사하는 법을 배운다.

제목을 잘 뽑는 사람은 이야기의 핵심을 잘 파악하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이 기억에 남는 말을 잘 하는 사람이다. 저자가 책에 쓴 대로 목차를 훑어보며 이야기를 상상해봤다. 처음부터 읽기보다 끌리는 목차를 무작위로 읽어버릇하니 독서가 더욱 수월하다.

오감을 자극하면서, 시각적 자료를 더해 말한다면 누구에게나 인기 많은 사람이 될 확률이 높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고 그 사람의 얼굴이 된다. 사람들은 다소 논리가 빈약하더라도 진정성이 느껴지는 사람에게 끌리고, 논리적 설득보다는 인간적인 신뢰가 느껴지는 사람에게 표를 던진다.

"하루하루가 쌓여 인생이 되고, 우리의 경험은 나이만큼 축척된다."

p69

반백살이 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잘 듣고, 잘 쓰고, 잘 말하기 위해 쉼 없이 노력하는 모습에 고무되더라. 나이를 먹으면 말도 자라야 한다. 말이 그 사람이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그래서 제목처럼 어른의 말이 필요하다. 내가 뱉은 말에 책임을 질 줄 알고, 내 생각을 말고 글로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 위한 정진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꼰대의 잔소리가 되지 않기 위해 오늘도 배우고 곱씹는다. MZ 세대와 대화가 사라진 가족 간에 소통하고 싶은 독자에게 꼭 필요한 책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읽고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