탤런트 코드 (특별합본판) - 재능을 지배하는 세 가지 법칙
대니얼 코일 지음, 윤미나.이지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탤런트 코드》는 자기계발서와 뇌과학이 만난 독특한 스타일의 책이다. '미엘린'을 통해 세계 최고의 작가, 바이올리니스트, 스포츠 선수, 은행강도, 전투기 조종사 등의 사례를 토대로 특정 행동의 규칙을 찾는다. 심층 연습을 통해 잠재적 재능을 깨우고, 연결된 신경계에서 폭발할 수 있는 점화장치를 만든다. 심층 구간을 이끌 정확한 신호다. 그리고 이를 체계적으로 도울 마스터 코칭으로 한 걸음 더 높이 다가갈 수 있도록 돕는다.

 

'미엘린'이라는 신경 절연 물질을 비롯해 과학계의 여러 혁명적인 발견을 바탕으로 수립된 개념이다. 사람의 스킬이 미세한 전기 신호가 사슬처럼 연결된 신경섬유 회로로 이동하고 습득된다고 밝혔다. 미엘린은 신경섬유 회로를 감싸 신호를 더 강하고 빠르게 만드는 원리와 같다. 미엘린은 신경섬유를 통해 이동하는 전기 자극에 반응한다.

 

 

 

예민하거나 배가 고프다거나 뭔가에 집중할, 막내라 뒤처진다는 말을 자주 듣거나,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고난을 빨리 경험하거나 등 자극에 이은 심층 연습으로 더해질 때 커진다. 모든 스킬에 보편적으로 적용되며 한번 감기면 풀리지 않는다. 30대까지 지속되며 대력 50 때까지 계속 늘어날 수 있지만 평생 두껍게 만드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우리가 나이가 들어도 계속 무언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다.

 

쉽게 말해, 연습을 하면 할수록 미엘린이 감싼 신경회로가 겹겹이 쌓여 절연층을 만들고 실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누구나 스킬을 습득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태어나지만 신호를 발사하고 회로에 분주히 절연 물질을 감싸는 광역대 설치는 당신의 몫. 어쩌다 얻어걸린 운, 우연이 아닌 1만 시간의 법칙의 다른 말이다.

 

 

 

즉, 시간과 노력을 들여 제대로 연습할수록 스킬이 늘어나게 된다. 르네상스 시대에 도제 시스템을 생각해 보면 좋다. 한마디로 도제는 체계적으로 탁월한 명인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실패하고 교정하고 경쟁하면서 수천 시간을 보내고 다듬어지는 것이다. 협동적인 관계이면서 경쟁적인 관계 현대에 비유하면 긴밀한 네트워크였다고 말할 수 있겠다.

 

 

 

"가장 창조적인 영역이라 생각되는 예술 영역에서도 연습은 중요하다 르네상스 시대의 도제 시스템을 단순히 기술자를 양성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해서는 안 된다. 순수한 천재라는 것은 없고, 노력의 시스템 속에서 위대한 예술이 탄생한다. 남다른 점이라면 '완벽한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뿐이다. " P64

 

 

 

베네수엘라의 '엘 시스테마'프로그램, 1998년 박세리의 등장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한국계 골프선수의 우승, 상대방을 빠르게 점화토록 만드는 말투를 《톰 소여의 모험》의 울타리 페인트 칠로 예를 든 것도 흥미로웠다. 천재도 재능을 발견하지 못하면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탤런트 코드를 구축하는 기본 요소를 모두 결합하면 성공의 지름길로 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하나라도 모자라면 발전 과정이 느려지만 세 가지의 케미스트리가 터지면 고작 6분이라도 모든 것이 달라질 수 있다.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무의식적으로 타오는 점화 돌파구, 재능의 꽃을 피우는 성공의 물꼬, 사소해 보이는 작은 암시들이 스킬 습득 과정에서 불을 지필 수 있는지 책 속에 그 해답이 제시되어 있다. 모두가 주저하는 시간과 일이 있다. 그때마다 일을 가로막는 걱정. 나이가 많아서, 이미 다른 분야로 옮기기에 두려워서, 귀찮아서 등등. 수많은 이유로 미뤄 두었던 당신의 재능에 불을 붙여 볼 생각 없는가?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말을 실감하는 도전, 밑져야 본전이다.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썼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