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가 능력이 될 때 -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는 법
야스다 다다시 지음, 노경아 옮김 / 리더스북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서른다섯에 독립해 비즈니스 커뮤케이션 전문가로 경력을 시작했다. 그때 만난 다양한 분야의 직급을 만나며 인맥을 넓혀나갔다. 임원이나 CEO와 대화를 하면 느낀 점은 성공의 기준은 '태도'임을 정립한다.

사회라는 집단은 혼자서 살아갈 수 없는 인간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일은 공동의 목표를 갖 여럿이 결과물의 성공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것. 협력을 위해서 '좋은 태도'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 되고 있다. 태도는 저절로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태어날 때부터 가지는 것도 아니다. 태도는 노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어디서나 환영받는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이 되기 위해 좋은 태도를 갈고닦는 것은 필수다.

"태도란 결국 연결하는 힘이자 종합하는 힘입니다. 즉, 일의 토대이자 성과의 원천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P8

좋은 태도의 비밀은 사소한 '챙김'에 있다. 조감력, 공감력, 논리력, 사교력, 존중력 이 다섯 가지 안테나를 잘 켜두고 태도를 갖춘 사회인이 될 수 있다는 것. 자세히 알아볼까?

조감력은 새가 하늘에서 내려다보는 것처럼, 전체를 한눈에 관찰하는 태도 '조감력'이다. 조감력은 행동력, 지도력, 책임감, 도전 정신을 낳고, 사람을 하나로 모아 이끄는 리더십까지 발휘하게 돕는다. '공감력'은 눈치가 빠르고 부지런하다는 평가뿐만 아니라 예의 바르고 반듯해 보인다. 상대방의 필요한 사항을 빨리 캐치하기 때문에 붙임성도 좋아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논리력'은 감정적인 행동을 자제하는 것이다. 그래서 업무의 질이 균일하며 누구에게나 설명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으며 의견 충돌 시 갈등은 공평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하고 싶은 이야기 보다 상대방이 듣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다.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 혹은 자신보다 나이가 어린 사람, 지위가 낮은 사람들과 다양하게 어울립시다. 여러 세대의 관점을 갖춘다면 사회를 더욱 넓고 깊게 볼 수 있으며 도량도 커질 것입니다."

p196

'사교력'은 누구나 되고 싶은 사람이기도 하다. 유머러스한 말재주로 분위기를 주도한다. 낯선 사람과 쉽게 친해지는 붙임성 있는 호감형이다. 활기차고 밝은 표정을 하고 있어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편하게 제안할 수 있는 사람이다. 마지막으로 '존중력'을 들 수 있다. 언제나 상대방의 의견과 생각을 인정할 줄 아는 것은 억지로 남에게 맞추려는 게 아니다. 눈에 띄는 유형은 아니지만 온화하고 충실한 인품으로 신중하게 행동해 주변 사람에게 신뢰를 받는다. 상대의 생각과 일뿐만 아니라 존재 자체를 존중해 겸손한 자세로 어떤 상황에서도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는 사람이다.

책은 요즘처럼 복잡한 사회에서 어디서나 환영받는 사람, 상대방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 사람에게 적절하다. 인싸가 되고 싶거나 많은 사람을 대면해야 하는 영업직, 서비스직. 직장, 학교, 단체 내에서 사람과의 관계가 어려워 힘든 사람이 읽어보면 좋겠다.

*본 도서는 제공받아 읽고 개인적인 의견을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