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제일 달고나 만화동화 1
황선미 지음, 박정섭 그림 / 주니어김영사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 문학이라고 얕볼 게 아니다. 성인이 읽어도 충분한 감동과 주제관으로 깊은 인상을 남기는 작품이 많다. 《마당을 나온 암탉》의 황선미 작가가 쓰고 박정섭 작가가 그린 《세상에서 제일 달고나》가 앞서 말한 예이다.

 

 

이야기는 드디어 1학년이 된 새봄이가 학교에서 같은 반 장갑순 할머니를 만나는 이야기다. 코로나19로 엉망이 된 일상이 반영되어 현실감이 크다. 새봄의 아빠는 여행작가인데 국내로 들어오기 위해 많은 돈과 시간을 들여야만 했다.

 

코로나로 멈춘 일상은 복구되지 못하고 새봄이네 집에 영향을 미친다. 아이들이 오지 않아 미술 학원을 열었던 엄마도 형편이 어려워져 임대 표지판을 붙였다. 어쩔 수 없이 근처 카페에서 아르바이트 자리를 알아본다. 면접 때 준비한 비장의 카드 '달고나 커피'를 선보여 단번에 붙었다는 후문이다.

 

 

무엇보다도 드디어 학교에 간다는 설렘보다 지켜야 할 수칙 앞에서 자유롭지 못한 새봄이의 생활이 격하게 공감된다. 새봄이가 가장 하고 싶은 것은 안타깝게도 '매일 학교에 가서 친구들과 급식을 먹는 것'. 코로나 이전에는 생각하지도 않았던 당연한 일상이 갑자기 특별해지는 순간이다.

 

 

'달고나'는 새봄이가 먹고 싶어 하는 주전부리기도 하지만 엄마를 일으켜 주기도 했던 꿈의 원동력이다. 또한 60년 간극의 할머니와 새봄이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기도 하다. "라떼는 말이야 달고나가 5원이었다"라고 말하는 할머니와 불량식품에서 이제는 고급 커피의 재료로 탈바꿈한 달고나의 변신도 재미있다.

 

며칠에 한 번 가는 학교지만 새봄이는 너무 좋다. 마음대로 마스크를 벗고 친구들의 얼굴을 볼 수 없지만, 수업 시간에 화분에 심어 놓은 강낭콩처럼 매일 조금씩 자라난다. 학교 교실에는 할머니 학생이 있는데, 늦은 나이에 한글을 배우러 학교에 온 만학도다. 장갑분 할머니의 꿈은 학교 공부를 마치는 것이고 나아가 운전면허를 따는 것이란다.

 
 

배움에는 왕도가 없다고 했던가. 가장 열심히 공부하는 할머니, 손녀뻘 되는 새봄과 친구가 되는 할머니와의 우정도 귀엽다. 잊고 지내던 어린 시절이 소환되기도 했다. 동생과 국자에 달고나 만들어 먹겠다고 하다가 집 홀랑 태워먹을 뻔했던 기억, 까맣게 국자가 탔던 기억 있었을 것이다.

 

 

이제 나이를 먹어 그 달달한 맛과 부풀어 오르는 갈색의 설탕 덩어리를 그리워할 나이가 되었다. 새삼 학교와 친구, 가족의 소중함, 동심까지 달달하게 일깨워 주는 어린이 동화다.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고 일상을 되찾길 바라는 염원을 간절히 바라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