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자폐 아들을 둔 뇌과학자입니다
로렌츠 바그너 지음, 김태옥 옮김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저명한 뇌과학자 헨리가 자폐 아들 카이를 알아가기 위한 사투다. 카이가 태어났을 때 그는 잘나가는 뇌과학자였다. 그는 자신의 아들이 자폐 장애가 있으라고 믿지 않았고, 뭔가 문제가 있을 거라 계속해서 공부해나가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럴수록 자신의 무능함을 깨닫는 고난이었다. 아들을 위해 자폐증을 연구하면 할수록 지금까지 쌓아올린 업적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을 깨달았다.

 

자폐증을 앓으면 말이 없고 눈을 맞추지 않는데 이는 자폐증 환자의 뇌 속에서 일어나는 시끄럽고 복잡한 일들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이다. 당신의 말을 무시하는 게 아니라 그것들이 너무나 강렬하고 힘들어 타인의 반응이 무뎌지는 거다. 책을 통해 자폐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고, 내가 오해했던 것들을 다시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반응에 둔감하기보다는 너무 예민해서 자기 세계에 갇혀 버린 거라 할 수 있다.

 

 

헨리는 뇌를 가장 잘 안다고 스스로 자부했지만 아들의 뇌는 결코 알지 못했다. 아들의 이상 행동을 보며 자폐가 아니라고 의심하고 연구하지만 허사였다. 그 희망은 타인과 눈을 맞추고 인사를 건네고 도울 줄 아는 특별한 행동 때문이었다. 자폐의 가장 큰 특징은 사회성 부족과 변화 거부였다. 나야말로 좁디좁은 편협한 생각의 틀을 깰 수 있었다. 자폐라고 할 때 모두가 같은 증상을 보이는 건 아님을 알았다. 모두 다 같은 자폐가 아니기 때문에 장애는 이렇다고 단정 짓는 것도 편견임을 알게 해준 좋은 책이다.

 

영화 속에서 다뤄지는 자폐 증상은 매한가지기 때문이다. 카이와 비슷한 영화의 캐릭터로 영화 <증인>의 김향기가 연기한 지우가 가장 비슷했다. 지우가 본 것을 통해 진짜 범인을 찾아 사건을 해결하는 영화로 김향기의 캐릭터는 만들어진 게 아니었다. 현실에 카이라는 소년을 지우를 통해 상상해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