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강빵과 진저브레드 - 소설과 음식 그리고 번역 이야기
김지현 지음, 최연호 감수 / 비채 / 2020년 3월
평점 :
아무거나 잘 먹는 나는 셜록 홈스의 식탐처럼 제때 끼니를 챙겨 먹지 못하고 놓치면 꽤나 신경질적으로 변한다. 그런 탓에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고 잘 살려고 노력한다. 어제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퇴원한 104세 최고령 할머니를 뉴스에서 보면서 생각했다. 역시 사람은 긍정적인 사고와 웃음, 삼시 세끼가 중요하다는 것을 말이다. 할머니는 꽃님이란 이름처럼 활짝 웃고 무엇보다 삼시 세끼를 건강히 잘 드셨다고 한다. 역시 먹는 게 중요하다.
영화를 볼 때도 유독 먹는 것에 집착한다. 영화에서 주인공들이 먹었거나 주요 소재가 되었던 음식, 그냥 이름만 나왔어도 한 번 꽂히면 그날 꼭 먹어야 직성이 풀린다. 최근 본 영화 <나는보리>에서 가족들이 둘러앉아 짜장면을 먹는 장면이 세 번 정도 나놨는데 영화의 좋은 영향뿐만 아니라 영화가 끝나고 중국집을 찾아다녔다. 영화에서처럼 짜장 세트(탕수육 포함)가 만원인 곳은 어디에도 없었다. 아마도 보리네가 단골이기에 중국집 사장님의 특별 메뉴가 아니었을까 추측한다.
결국 다음날 짜장면과 탕수육(영화에서 이 조합은 중요!)을 먹었고, 금단 현상을 해소되었다. 가장 곤욕스러운 것은 일본 영화다. 일본 영화는 아예 대놓고 음식, 요리, 요리사, 장인에 관한 소재가 많고 나 또한 그때마다 마른침을 꼴깍 삼키며 저 맛은 어떨까 상상하고 괴로워했다.
때문에 번역가 김지현 씨의 책을 보면서 엄청난 공감을 했다. 그녀는 어릴 적 세계 명작 소설이나 소녀 소설을 읽으면서 낯선 음식, 재료 등에 열광했다고 한다. 현재는 번역가로 일하면서 우리말로 어떻게 옮길까 행복하고도 괴로운 작업을 하고 있다고 털어놓았다. 그리고 음식은 당시 그나라의 문화를 보여주는 척도기도 하기에 덤으로 세계사 공부까지 할 수 있어 좋다.
생강빵과 진저브레드는 같은 빵이지만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문맥과 해당 나라의 식문화에 충동을 낳지 않는다. 따라서 한 단어의 의미를 다른 나라 언어로 번역하면서 원래의 의미는 반감하기도 한다. 책을 통해 번역사의 단어 선택이 그 나라의 말을 모르는 독자(관객)에게 평생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영화 장르와 문화권에 따라 찰떡같은 번역으로 사랑받는 황석희 번역가가 있다. 또한 마블 마니아들의 광분을 산 오역 번역가도 있다. 타문화를 이해하는데 디테일한 부분도 놓치지 않는 번역가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 그대로 직역하지 않고 의역하고 윤색하는 것. 음식 고유의 맛과 풍미를 살리고 원재료를 손상하지 않는 일류 요리사와 비견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