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감염도시 - 대규모 전염병의 도전과 도시 문명의 미래
스티븐 존슨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20년 4월
평점 :
콜레라는 물을 통해 정확히 표현하자면 물속에서 자라고 있는 박테리아로 전염된다. 19세기 산업 도시의 원형이었던 런던에서 가장 빠르고 많이 전염되었다. 당시 도시의 과밀화는 진행되었으나 식수와 배수로가 제대로 형성, 관리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콜레라로 죽었다. 1853년-54년의 참상은 무려 4000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150년 전 런던의 무차별 죽음으로 얻은 교훈으로 1865년 전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하수 체계를 만들었다. 위생적인 상수 체계 및 쓰레기 처리 체계를 구축하는 일은 전 세계 모든 산업 도시의 핵심 하부구조 사업이 되었다.
책에는 이런 말이 의미심장하게 적혀 있다. "미래에 정말 엄청난 전염병이 닥친다면, 지도가 백신만큼 결정적인 퇴치 무기가 될 것이다." 현재 발생한 신종 코로나19는 디지털 지도뿐만 아닌, 과학의 힘으로 슬기롭게(혹은 무식하게) 극복 중에 있다.
그때 런던에는 독불장군이자 열정으로 똘똘 뭉친 아웃사이더 '존 스노(저자는 왕좌의 게임 존 스노와 스펠링은 다르지만 언급을 통해 격상시킴)'라는 의사가 있었다. 그는 공중보건과 역할을 탐색했다. 빈민촌과 식수제공 회사의 자료를 모아 감염 지도를 작성했고, 상수도가 오염돼 콜레라 발생이 높다는 가설을 세웠다. 가장물 맛 좋기로 소문난 브로드 가 펌프를 제거한 순간 콜레라는 종식 시킬 수 있었다.
책은 마취제를 발명해 여왕의 순조로운 출산을 도와 일약 스타 의사가 된 존 스노가 꽃길을 마다하고 콜레라와 펌프와의 관계를 집요하게 추적한 결과를 흥미롭게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에 정은경 본부장이 있다면 150년 전 런던에는 존 스노와 독기 이론(공기 독성이 너무 강해 물까지 감염시켰을 거라는 것)을 펼쳤던 런던 토박이 성직자 화이트헤드의 활약이 있었다. 물론, 독기 이론으로 확증편향을 펼침으로써 구할 수 있었던 병을 키운 사람들이 있었다.
콜레라는 몸의 수분을 빼내 말라 죽이는 병이다. 타는 듯한 목마름을 경험하지만 깨끗한 물을 구할 수 없어 참거나 그 물을 또 마셔야 하는 악순환이었다.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최악의 고통을 너무나 또렷한 정신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거다. 내가 죽어가고 있다는 것을 가장 가까이에서 체험하는 잔인함 말이다. 사람들이 도시에 몰려들어 높은 인구밀도를 보이자 분뇨가 넘쳐났다. 그리고 제국주의 회사들은 해상 무역 경로를 개척했기에 한 곳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염병이 퍼져 나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