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가지 물건으로 다시 쓰는 여성 세계사
매기 앤드루스.재니스 로마스 지음, 홍승원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3월
평점 :

책은 영국 여성의 참정권 획득 100주년을 기념하여 쓰였다. 수많은 제약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역사를 기술하고자 한 많은 여성학자들이 노고를 치하하고 있다. 다채롭게 수집한 100가지 물건들은 저마다의 이야기를 품고 있었다.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여성사를 들어볼 수 있어 놀라우면서도 안타까웠다.
몸과 모성, 아내와 주부, 과학기술, 패션 소통과 여행, 노동과 고용, 창작과 문화, 여성의 정치 등으로 섹션으로 100가지를 다룬다. 여성으로서 몰랐던 사실, 공감하는 부분을 흥미롭게 익힐 수 있었다.
다소 충격적인 내용과 사진들이 많다. 이 사진은 굴욕적이기도 공포스럽기도 하다. 여성들은 200년 동안 잔소리꾼 굴레로 침묵을 강요 당했다. 본디 말을 길들이기 위해 쓰던 도구가 여성의 발언을 족쇄 채운 것이다. 이 굴레는 여성의 목소리를 억압하고 공공 영역에서 여성을 배제하려는 지속적인 운동에 속한다. 권위가 떨어질까 두려웠던 남성들의 두려움이 만든 물건이기도 하다.

또한 SNS 상의 트롤링(trollimg, 인터넷 공간에 공격적이고 불쾌한 내용을 올려 다른 사람의 화를 부추기는 등 공격적이고 반사회적인 반응을 유발하는 행위), 다양한 문화권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경멸의 욕설이 등장하는 것도 비슷한 이치다. 실제로 불쾌하거나 악의적인 험담의 의미를 가진 헐뜯다(to bitch)는 동사는 여성다움과 결부된 상투어로 진화했다. 이런 물건을 통해 여성의 진실된 목소리에 두려워하는 권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모든 문화에서 빵을 굽는 것은 여성으로 묘사되고 있다. 인류는 3만 년 전부터 빵을 먹었으며, 유목민들이 정착생활을 시작한 이유도 밀 재배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여성이라면 가난하든 부자이든 빵을 구울 줄 알아야 하고 빵을 사는 여성들을 게으르다고 여기는 시건도 있었다. 하지만 1928년 미국에서 개발된 빵을 썰고 포장하는 최초의 기계가 발명되고, 61년에는 발효과정을 줄인 콜리우드 식 빵 가공법이 등장해 상업적 제빵 규모를 향상시켰다. 20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베이킹이 취미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기도 했다. 이토로 물건의 발명은 여성의 힘든 삶에 보탬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