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병 - 인생은 내 맘대로 안 됐지만 투병은 내 맘대로
윤지회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암입니다"라는 말을 듣는다면 어떨까? 당해보지 않았지만 상상만으로도 가슴이 철커덩 내려앉는 기분이다. 암 4기 사실상 말기 진단을 받고 윤지회 작가는 어리둥절했을 것이다. 평소 술 담배도 하지 않고 고작 해봤자 몇 번 마감을 위해 새벽에 커피를 마셨던 게 전부인데 말이다. 아직 초등학교도 가지 않은 아이와 무뚝뚝한 남편 등등 만감이 교차했다.

 

 

사기병》은 위암 4기에 그린 인스타그램 웹툰을 엮은 일종의 위암 수기 만화다. 항암 치료 과정을 담아 자전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간결한 그림체와 따스한 글귀가 울다 웃다를 반복하게 한다. 흔이 항암 치료라면 암 치료만 전념할 줄 알았는데 굉장히 많은 합병증으로 또 다른 치료를 받아야 되더라. 많은 환자들이 충격으로 공황장애, 우울증 등 정신장애로 고생한다고 한다. 병이 병을 부른다.

 

 

작가는 숟가락 들 힘조차 없을 때 핸드폰을 많이 봤다며, 진료를 기다리고 주사를 맞는 병원에서 그린 아이디어나 그림을 인스타그램에 올렸다. 그 반응은 아픈 사람, 병을 극복한 사람, 성한 사람 모두를 열광하게 했고 많은 공감을 얻었다.

 

 

"내 나이는 한 살이다.

수술 후 다시 태어났으니 말이다.

뭐든 할 수 있는 나이다.

덤으로 시작하는 두 번째 인생

누구보다 멋지게 지내 보고 싶다.

이제 겨우 한 살이니까. "

 

아프면 세상이 달리 보인다. 고작 감기만 걸렸어도 인스타그램 친구들이 가고 먹고 즐기는 모습이 부럽기 때문이다. 하물며 감기로 집에 있어도 이럴진대 위암 말기에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 왜 나에게 이런 병이 왔는지 자책하고, 울다가 더 악화될지도 모른다. 하지만 윤 작가는 아이를 보면 살아야 한다는 의지를 키운다.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졌을 때 비로소 삶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그림은 아마 구원이었을 것이다.

 

 

 

김보통 작가의 《아만자》와 비교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암'과 '그림'이라는 공통점을 빼고 둘은 작가만의 개성으로 채워진 저작물이다. 《사기병》은 더 발랄하고 유쾌하게 암에 대한 공포와 죽음의 슬픔을 걷어내고 있다. 무거운 주제 '항암'을 그림의 형식을 빌려 전달하고 있다.

 

 

 

제목 '사기병'은 위암 4기, 이 암이 사기였으면 좋겠는 바람, 깨지기 쉬운 사기 등 중의적인 의미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병이 진짜가 아닌 가짜였으면 좋겠는 오진의 의미가 가장 크게 와닿기는 하지만.. 무엇보다도 '나는 살 수 있다', '살아야 한다'라는 말을 주문처럼 읊조리는 부분에서 삶의 의지가 느껴졌다.

 

그림을 보면서 나 또한 많은 용기와 희망을 얻었다. 위암 4기 완치율이 7% 지만 내가 극복하면 100%가 되는 확률의 마법을 대리만족한 경험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