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넬백을 버린 날, 새로운 삶이 시작됐다
최유리 지음 / 흐름출판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더 높은 숫자, 더 좋은 스펙에 목매는 우리는 경쟁 시스템의 충실한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엘리트 코스'라는 무의미한 목표 지점을 향해 줄기차게 달려간다. 그 과정에서 자신을 타인과 차별화시키는 정체성과 꿈은 당연히 무시된다. 경쟁 시스템의 일원이 되려 할수록, 완전 경쟁 시장의 참여자들이 그렇듯 우린 너무도 쉽게 대체 가능한 존재가 되어간다. " P61

 

저자는 어릴 때부터 옷이 좋았다. 패션의 완성은 얼굴이란 말을 믿지 않았다. 자신이 가진 스펙이 패션에도 영향을 끼친다고 믿었다. 서울대 출신, 박사학위, 브랜드 아파트, 그리고 샤넬백을 가지면 행복은 저절로 따라오는 줄 알았다. 하지만 그것들을 다 얻고도 그다지 행복하단 느낌은 없었고, 더 힘들어지기 시작했다.

 

제목처럼 저자는 샤넬백(겉치레, 가면)을 버리기로 결심한다. 억지로 모범생과 트렌드에 구겨 넣지 않고 나다움을 그대로 분출하기도 한다. 잘 모르고 있는 세상 사람들에게 고한다. '패션의 완성은 자존감이다'라는 것을. 옷잘 있는 사람은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점을 말이다.

 

시작은 '오드리 헵번'사진전에서 변한 가치관부터다. 오드리 헵번 스타일을 만들어 낼 정도로 전 세계적인 아이콘이었던 오드리는 당시 선호하는 예쁜 여성의 기준이 아니었다. 풍만하고 육감적인 금발의 여배우들이 각광받던 시기 큰 눈에 지나치게 말라 성적인 매력이 부족한 오드리는 대세에 따르기 보다 자신만의 스타일을 만들었다. 그 후에도 유명세의 늪에서 허우적거리던 '마릴린 먼로'나 '그레이스 켈리'와 달리 나만의 삶을 간직하길 바랐다. 아프리카 어린이를 돕기 위해 직접 현장으로 향했고, 유명세를 이곳에 합리적으로 이용했다. 이는 가난으로 고통받았던 오드리의 유년시절이 반복되어서는 안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분명 작년 이맘때 벗고 돌아다닌 게 아닌데 옷장을 열면 입을 옷이 없다. 쇼핑에 나선다. 옷을 산다. 옷장에 진열하려고 보니, 이미 있는 옷과 비슷한 옷이다. 이런 상황이 반복된다. '올해의 컬러, 올해 유행 스타일'이런 문구는 판매를 위한 마케팅이다. 매년 패션 업계에서 암묵적으로 협의된 사항이다. 상품을 팔아야 되기 때문에 사지 않으면 루저라는 의식을 교묘하게 숨긴 전략이다. 이런 문구에 혹해 나에게 어울리지도 않거나 필요도 없는 아이템을 자꾸만 사들인다.

 

책은 자의식을 갖고 부족한 나를 스스로 사랑해줄 것을 말한다. 10대 때는 모범생처럼 살다 20대에 일류대에 들어갔고 교사의 삶의 살다. 30대에 학자의 삶을 살다가도 채워지지 않는 결핍에 내내 시달렸다. 우울증을 겪고 자살 충동까지 겪은 후에게 진정으로 원하는 삶은 무엇인지 생각해 본 저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서술한다.

 

 

20대에 꼭 읽어야만 할 것 같아 열심히 읽었던 남인숙 저자의 《여자의 모든 인생은 20대에 결정된다》의 트랜디한 자기계발 버전 같다. 여기서 말하는 샤넬백은 값비싼 솜사탕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단단해 보여도 쉽게 뭉개지고, 사라져 버리는 우리 안의 허상과도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