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말이 좋아서
김준태 지음 / 김영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시에 살면서 나무와 숲, 산의 소중함을 잊고 삽니다. 하지만 나무는 핸드폰 속 작은 세상을 쫓아 무심히 지나쳐갈 때도 묵묵히 세상과 대화합니다. 미세먼지, 황사, 폭염 등등 자연이 아프다고, 위험하다고 경고할 때서야 되돌아봅니다.

 

언제나 그 자리에서 지키고 있는 나무들이 어느 순간 없어진다면 어떨까요? 우리는 너무나 당연시하기에 소중함을 모르는 것이 참 많습니다.

청량한 녹음이 절정에 이른 여름, 시원한 숲 가운데 있는 것 같은 책 《나무의 말이 좋아서》는 생태 융합과 생명철학을 공부하는 탐구가이자 교육자인 김준태 저자가 직접 사진 찍고 쓴 숲 에세이입니다. 나무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한 겨울을 이겨내고 생명과 소생의 계절 봄에서부터 시작해 다시 겨울로 4계절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단순히 자연, 꽃, 나무에 대한 생태학적 정보만 있다고 판단하면 큰일입니다. 숲에 깃든 나무와 꽃 하나하나의 전설을 인문학적, 생태학적으로 접근해 재미를 더합니다.

 

가난하던 시절 작은 꽃이 다닥다닥 핀 모양이 좁쌀을 튀겨놓은 것 같다고 하여 조밥(팝) 나무가 된 사연, 왕조시대 그림의 떡인 이(李) 씨와 양반만 먹는 것으로 불려 이 씨들의 밥, 이밥(팝) 나무가 된 사연. 아직 꽃샘추위가 가시지 않은 쌀쌀한 봄에는 산에 있는 다양한 식물을 먹었다고 합니다.

너도나도 생명을 경쟁하는 녹음의 계절 여름, 더위를 피해 산속으로 피서 가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그중에서도 산자락 곳곳을 점령하고 있는 덩굴식물 칡의 위엄을 이야기합니다. 칡뿌리 갈근은 구황작물로 요긴했지만 지금은 통제불능, 골칫덩어리로 전락했습니다. 세상이 변해 가치도 변한 나무의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하여가>의 이방원의 유혹은 공생을 떠오르게 합니다. 꽃과 나비, 도토리와 다람쥐처럼 합심하는 공생, 칡의 무차별적 확장이 보여주는 공생의 배신. 칡은 여러모로 다양한 메타포가 가능한 식물입니다.

 

가을을 대표하는 국화과 숲꽃들도 알아봅니다. 들국화란 뭉텅이 이름 말고 하나하나 예쁜 이름이 있습니다. 음력 9월 9일경에 채취하는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이 시기에 줄기가 아홉 마디가 되어 구절초라 불리기도 합니다.

 

또한 쑥 캐러 다니던 불쟁이네 딸이 벼락에서 떨어진 자리 생긴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분하는 방법도 알아갑니다. 아름다운 단풍의 계절 가을에 꽃들의 전설도 귀 기울여 볼까 합니다.

 

드디어 건강하게 한 해를 마무리한 겨울입니다. 숲은 비움과 채움을 통해 인생을 노래합니다. 격렬하던 오색찬란 잎사귀들과 이별하고, 남은 유산도 열매로 떠나보냅니다. 그리고는 혹한을 홀로 이겨냅니다. 에너지를 뿌리로 모아 다시 채워질 숲의 역사를 준비합니다.

 

신선한 공기, 시원한 바람과 그늘을 선사하는 숲의 유의미함을 논합니다. 도시에 살면 좀처럼 숲에 가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면 근처 공원에서 잠시 시간을 보냅니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통해 삶의 순환과 지혜를 배웁니다. 그리고 과학과 인문,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진 축약된 인생을 숲에서 채웁니다. 오늘도 나는 숲으로 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