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 도둑 - 아름다움과 집착, 그리고 세기의 자연사 도둑
커크 월리스 존슨 지음, 박선영 옮김 / 흐름출판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갖고 싶은 욕망의 끝은 어디일까요? 인간은 내가 갖지 못한 것을 뺏기 위해 고분분투하며 진화했습니다. 소설처럼 읽히나 사실은 논픽션 에세이. 영화 같은 한 남자의 삶을 쫓으며 오늘의 나를 반성합니다. 이미 충분히 가졌음에도 더 많이 갖고 싶어 하는 불필요한 욕망은 범죄에 발을 들여놓게 하거나 인생의 막다른 길을 안내하기도 합니다. 더 나아가 나와 내 이웃, 자연 모두의 생태계를 망치는 연쇄적이고 유기적인 연결은 책을 통해 인지합니다.

 

《깃털 도둑》은 2009년 자연사 박물관에 침입해 299점의 새 가죽을 훔친 열아홉 살 플루트 연주자 '에드윈 리스트'의 실화를 다룹니다. 저널리스트 '커크 윌리스 존스'는 범죄 경력이 없는 한 청년이 말도 안 되는 범죄에 빠지게 되었는지 심층 분석하였는데요. 5년 동안의 시간과 면밀한 사실 확인을 통해 개인의 욕망과 얽힌 범 지구적인 인류의 욕망을 들려주고 있습니다.

 

그는 프라이 만드는 취미가 플루트 천재성만큼이나 있음을 알았고, 트링 박물관에 희귀 깃털이 보관되어 있음을 알게 됩니다. 당시 보안체계를 뛰어나지 않았고 상상하지도 못할 만큼 신속하게 깃털을 훔쳐 유유히 빠져나왔습니다. 그는 깃털을 인터넷에 팔았고 체포되었습니다. 훔치고 판 것보다 더 심각한 것은 과학적이고 역사적인 가치를 훼손했다는 점입니다. 그는 이렇게 큰 범죄가 될지 몰랐다고 했고 법원은 그를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판단해 집행유예로 풀려납니다.

깃털은 오랫동안 인류와 함께 했습니다. 신분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모자 장식부터 플라이 타잉의 쓰임까지. 깃털의 생김새와 색깔, 질감의 다름은 깃털덕후들의 마음을 흔들어 놓았습니다.

트링 박물관에 보관된 18세기 표본은 탄소 및 질소 동위원소를 분석해 새의 먹이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입니다. 또한 깃털이 역사적, 산업적으로 인류의 삶을 변화시켰는지까지 볼 수 있는 사료입니다. 범인을 잡았지만 박물관은 약 300여 종의 표본이 사라진 반쪽짜리 결과를 받아들여야 했고, 씁쓸하고 답답한 결말에 독자들도 분노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 책은 작은 깃털 도둑(에드윈 리스트)부터 플라이 중독자, 깃털 장수, 마약 중독자, 맹수 사냥꾼, 전직 형사, 치과 의사 등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자료조사에 임했습니다. 그 결과 단순한 개인의 수집이 다윈과 종의 기원 창시자로 알려진 '앨프래드 러셀 윌리스'의 탐험, 수집벽 은행 재벌, 19세기 깃털 부흥기를 이끌 모자 산업 등. 개인과 역사 그리고 산업에 얽힌 이야기를 풀어 냅니다.

과학은 양날의 검입니다. 인류 역사에 도움을 주고자 자연을 파괴하고 때로는 같은 인간을 궁지에 몰기도 합니다. 핵실험, 의학의 발달, 전쟁 등 다양한 인간의 욕망은 지금까지의 찬란한 인류사와 함께 지구를 병들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