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케고르, 나로 존재하는 용기 - 진실한 삶을 위한 실존주의적 처방
고든 마리노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기를 내면 안정된 발판을 잠시 잃는다.

그러나 용기를 내지 않으면 자기 자신을 잃는다!"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란 질문에 답은 제각각 일 것입니다. 허나 자명한 사실은, 자기 자신을 잃어버렸을 땐 그 무엇으로도 해결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겁니다. 우리가 흩어진 나를 찾아 실존성을 깨닫는 일을 일생 동안 해야 하는 이유기도 합니다.

 

저자 '고든 마리노'는 경찰서를 드나드는 불량학생이었고, 술과 마약에 빠져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방황의 길을 걸었습니다. 우연히 심리치료 약속 시간에 일찍 도착해 들어간 카페에서 '키르케고르'를 만났고 삶은 180도, 아니 360도 달라집니다.

 

우리의 삶도 언제 어디서 어떤 일을 만날지 모릅니다. 그래서 살만한 가치가 있고, 그래서 힘들어도 이겨낼 용기가 있는 것이겠죠. 고든 마리노는 자신이 '키르케고르'를 만나 구원받았다고 말합니다. 이를 적용해 또 다른 이를 구원하려 합니다. 불안, 우울과 절망, 죽음, 진정성, 신앙, 도덕성 그리고 사랑으로 말이죠.

 

 

"우리가 실존주의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교훈적 메시지 중 하나는,

고통이 인간을 파멸시키거나 바위처럼 몰인정한 사람으로

만들 수도 있지만 영적인 성장을 촉진하는

자극제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바닥이란 말을 자주 듣는 이야기입니다. 일과 여가, 기쁨의 괴리감이 크며 자살률도 높은 편입니다. 그는 삶을 유지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 '실존주의'를 가지고 한국 독자에게 호소합니다. 삶의 질을 높여준 실존주의자들의 통찰력에 영향받았으면 한다고 말합니다.

 

끊임없이 타인과 비교하기 바쁜 한국인에게 키르케고르는 '이 세상을 버려라'라고 합니다. 자신의 실존을 망각하지 말라는 경고는 더 나은 삶을 살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근원을 탐구하는 지침서가 될 것입니다.

 

이는 부족한 나라도 기꺼이 인정하는 '아들러 심리학'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개인 심리학의 학문을 만난 아들러와 '나'라는 존재의 성찰을 돌아보는 '키르케고르'의 실존주의를 다시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책은 자신과 타인 그리고 철학적 지경을 넓혀가고 싶은 독자들을 유혹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