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로스 사이언스 - 프랑켄슈타인에서 AI까지, 과학과 대중문화의 매혹적 만남 ㅣ 서가명강 시리즈 2
홍성욱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서가명당'은 서울대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란 말의 줄임입니다. 책은 현직 서울대 교수진의 강의 중 유익하고 흥미로운 콘텐츠를 엄선한 '서가명강'시리즈 중 하나인데요. '명견만리'나 '세바시' 같은 대중 강연이나 TV 프로그램에서 나온 담론을 담은 책이 인기인 것처럼 과학 문화를 대중적으로 접근하는 흥미로운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흔히 과학과 인문학은 별개의 학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크로스오버가 쉽지 않다는 선입견을 떨쳐 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주제 또한 과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진입장벽으로 환영할만한 현상입니다. 책은 제목처럼 과학과 대중문화의 '크로스'를 볼 수 있는 여러 사례를 들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소개된 사례는 외국 소설 《프랑켄슈타인》, 《1984》, 《멋진 신세계》, 《퀴리 부인》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 <로보캅>, <가타카>, <옥자>, <메트로폴리스>, <엑스마키나>, <블레이드 러너>, 잡지 기사와 사진,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 우리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혈의 누》 등 다양한 대중문화를 융합합니다.
첫 장부터 호기심을 유발합니다. 얼마 전 보았던 영화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의 탄생>을 보고 소설을 쓴 18세의 소녀 '메리 셸리'에 대한 관심이 커졌거든요. 또한 근래 본 '스탠리 큐브릭' 영화를 통해 영화 <닥터 스트레인지러브>를 알게 되었기에 인입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두 작품을 통해 우리가 알 수 있는 메시지는 그 속에서 그려지는 과학자의 이미지입니다. 미친 과학자가 세상을 어떻게 망칠 수 있는지, 혹은 자별하는지. 과학의 명암을 뚜렷하게 보여주면서 현재 과학과 비교해보고, 앞으로의 미래에 대한 성찰을 이룰 수 있다고 할 수 있죠. 또한 둘 다 과학자는 남성이기 때문에 여성 과학자에 대한 궁금증도 자연스럽게 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게 2장에서는 너무나 잘 알려진 여성 과학자 《퀴리 부인》을 다루고 있습니다. 소설은 딸 '에브 퀴리'가 엄마를 생각하면서 썼기 때문에 드라마틱 한 요소를 넣어 신격화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퀴리 부인은 자애롭고, 남편을 지극히 사랑하면서도 연구에 매진하는 슈퍼우먼의 전형이 되었죠.
하지만 퀴리 부인은 생각보다 선택적인 전략가이면서도 산업 전사였습니다. 즉 순수 과학자이기보다는 산업체와 결탁한 과학자였죠. 산업체의 스폰서를 끼고 안정적인 연구, 전략적 연구가 가능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밖에도 방사선 원소에 대한 화학적 분석을 적용해 관련 도구를 설계, 개발, 활용하는데 적극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1차 세계대전 동안 야전 트럭을 개조해 이동형 X선 장비를 만들어 전장을 누비기도 했죠. 그녀의 욕망은 다양한 과학 분야의 발전을 이루었고, 인류 문명이 한 단계 성장하는 발판이 되어 주었습니다.
여전히 많은 이들이 여성은 선천적인 결함 혹은 육아와 가사노동 때문에 과학에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마리 퀴리'는 일찍이 1903년 노벨 물리학 상, 1911년 단독 노벨 화학 상을 수상하며 첫 번째 노벨상 여성 수상자일 뿐만 아니라 남녀를 통틀어 서로 다른 과학 분야에서 노벨상을 두 번 탄 수상자가 되었습니다.
이로써 위인전을 읽을 때 편파적인 경향으로 쓰였는지 독파하는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습니다. 대중문화를 접할 때는 누구인지에 따라 다양한 관점으로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중문화를 받아들이는 다양한 시각, 왜곡과 과장을 필터링해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앞으로는 더욱 길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후 책은 인류 역사에서 천대 시 되어온 여성인권의 역사와 더욱 과소평가된 동물의 역사로 넘어가게 됩니다. 한 챕터에서 다음 챕터로 넘어가는 흐름이 《천일야화》의 '세헤라자데' 못지않습니다. 굉장히 재미있고, 계속해서 듣고 싶은 이야기입니다. 인 문학서인데 밤을 새울 기세입니다. 과학이 이렇게 재미있었나? 싶을 정도로 대중문화와 융합된 콘텐츠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영감을 주는 소재가 아닐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