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트] 잘 다녀와 + 잘 지내니 - 전2권
톤 텔레헨 지음, 김소라 그림, 정유정 옮김 / arte(아르테) / 2018년 1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220/pimg_7650201492077619.jpg)
만남은 헤어짐을 전제로 한다는 말. 어렸을 때는 잘 알지 못했습니다. 점점 나이를 먹고 세상을 알아가면서 만남 뒤에는 헤어짐이 따라옴을 하나씩 알아아게 되죠. 그렇다고 헤어짐이 두려워 만나지 않으려는 건 아니에요. 다만 언제 떠나더라도 다시 만날 날을 기약하며 감정을 추슬러야 한다는 것쯤은 알게 된 나이입니다.
아기자기하고 예쁜 동화 두 권은 《고슴도치의 소원》, 《코끼리의 마음》의 저자 '톤 텔레헨'의 신작입니다. 두 책은 모두 동물들이 주인공인 우화소설로 동물들의 특성과 현대인의 복잡다난한 내면을 잘 매칭해 놓고 있습니다. 감수성을 점점 잃어가고 무미건조한 일상을 살고 있는 어른들을 위한 힐링 동화인데요. 바짝 얼어붙은 마음을 살살 녹이는 따스한 핫초코 같은 그림과 글들이 맞아 줍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220/pimg_7650201492077622.jpg)
우리는 매일 타인의 SNS를 통해 일상을 공유합니다. 예전 같았으면 편지로, 전화로, 이메일로 전했을 소식을 지금은 클릭 한 번으로 실시간 함께할 수 있는데요. 누군가에게는 간절히 원하는 정보이지만 누군가에게는 불필요한 정보가 되기도 하죠.
동화 속에서는 순수한 유년 시절로 돌아가 내 생각을 안 해서 슬프지만 나는 언제나 너를 생각하며 살아가겠다는 말, 저 멀리서 누군가 나를 생각할지도 모른다는 기쁨 한 번쯤 곱씹어 볼 말입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220/pimg_7650201492077623.jpg)
모든 게 불필요하다고 느껴서 물건도 관계도 버렸지만 혼자 덩그러니 남게 된 외로움을 버리지 못한 사연. 근황을 알려 하지 말라고 했지만 그럴수록 누군가의 관심받고 싶은 이중성. 현대인의 복잡한 심리를 우화로 표현했습니다.
《잘 지내니》는 장기하의 '별일 없이 산다'가 생각나는 동화입니다. 별일 없이 사는 게 가장 힘든 일이 되어버린 현대인의 일과에서 '잘 지내냐'라는 인사는 묻지 말아야 할 금기어가 되기도 합니다. 오랜 취업 준비와 경제 불황 등으로 어쩌면 안부를 묻고 답하는 말이 상처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220/pimg_7650201492077624.jpg)
어떨 때 여행 가세요?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고 싶을 때, 혹은 마음이 복잡해 어디든 훌쩍하고 떠나고 싶을 때 익숙하지 않은 곳으로 여행을 가기도 하죠? 호기심에 이끌린 다람쥐가 여행을 떠나며 다양한 동물들과 상황을 맞이하는 이야기는 우리의 삶과도 닮았습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8/1220/pimg_7650201492077625.jpg)
다람쥐는 생각했다.
만약 그곳이 아무것도 아니라면,
여기가 전부라는 말이네.
그는 하늘과 평야, 멀리 있는 숲,
옆에 있는 개미를 바라보았다.
그러니까 이게 전부야.
더 이상은 뭐가 없는 거야.
그는 고개를 끄덕이며
자신이 알아낸 것에 만족했다.
더 이상 뭔가 있어야
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했다
매일 같은 곳을 빠짐없이 다니는 일상은 쉽게 지루해지고, 어디라도 좋으니 모험을 떠나고 싶을 때 이 책은 심심한 위로가 됩니다. 떠나보면 늘 알게 되잖아요. 집 떠나면 고생이라는 것을.. 집 많은 평온하고 온전히 쉬게 하는 장소는 흔치 않아요.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고 다시 힘내서 일상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에게 위로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