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어라, 내 얼굴 슬로북 Slow Book 4
김종광 지음 / 작가정신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격 농촌소설 《놀러 가자고요》로 알게 된 김종광 소설가의 에세이 《웃어라 내 얼굴》. 역시 작가의 20년 동안 갈고닦은 재간은 일상의 사소함에 속에 숨어 있는 진솔한 웃음을 포착합니다. 20년 동안 글을 써 밥벌이해왔던 순간마다 함께 해준 가족, 친구, 지인들과 관계를 통해 애증의 글쓰기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글쓰기를 생각하는 고찰입니다.

에세이 《웃어라 내 얼굴》은 작가정신의 새로운 산문집 시리즈 '슬로북'시리즈 인데요. 로북 (SLOW BOOK)은 속도지상주의 시대에 '느려질 수 있음'의 가능성을 누리면서, 자신만의 속도를 찾아내는 발상을 꾀할 것을 권합니다. 슬로북을 통해 책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삶의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부부지만 너무나도 다른 세계관을 공유하는 대화가 재미있습니다. 제목은 '대출 세계관'. 작가답게 도서관의 대출 서비스에 대해 아내에게 물어봅니다. "대출 언제부터 가능해?" 아내가 대책 없는 얼굴로 대답했다. "기약 없지. 무리해서 대출할 필요 없잖아." (중략) "그럼 살까?" 도서 대출이 불가능하니, 사서 보자는 거였다. (중략) 아내의 대답. "우리 형편에 어떻게 사?". 소설가는 아무리 형편이 어려워도 그렇지 명색이 작가가 책 몇 권을 사봐야 하지 않냐는 대화였고, 아내는 집을 사버리자는 대출로 이해했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였습니다.

두뇌 노동과 육체노동 간에 너무나도 차이 나는 게 있다.

바로 노동 대가다. 몸을 많이 쓰는 노동일수록 돈을 조금 번다.

이 땅의 수많은 농사꾼과 공장 노동자들은

그토록 몸뚱이를 놀리면서도, 머리 쓰는 사람들에 비해,

너무나도 적은 돈을 벌고 있다.

-근로자의 날 중에서-

작가는 그냥 넘어갈지도 모를 일상 소재도 웃음 포인트로 끌고 와 환기하는 탁월함을 보입니다. 시시콜콜한 생활이 어찌 문학이 될 수 있냐 반문할 수 있겠지만 개의치 않습니다. 자신의 흠도 여지없는 글 소재, 희생을 감내한 생활밀착형 솔직함에 독자는 매료될 수밖에 없습니다.

'세상에 이런 일이’천지다.

괴력난신의 파노라마다.

하기는 나부터가 이해할 수 없는

괴력난신 덩어리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가난한 마을, 가난한 고을에서 성장해 가난한 도시들이 즐비한 가난한 출신들만 우글거리는 대학에 다녔고, 그 후 계속 밥벌이가 급급한 생계형 글쓰기에 매달렸습니다. 가난한 사람은 더욱 가난해지는 시대, 더 이상 개천에서 용나기 힘든 사회구조에서 자조 섞인 한탄도 공감해 볼 수 있었는데요.

제목 '웃어내 내 얼굴'은 즐거워서 웃는 일보다, 어이없고 기가 막혀, 화나거나 분해서 웃는 일입니다. 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닌, 그리 웃어야만 한다고 본능적으로 웃어넘기는 뇌와 마음을 속여야만 하는 세상. 삶은 인생은 가까이에서 보면 비극 멀리서 보면 희극이라 말했던 찰리 채플린의 명언이 생각납니다.

 

일상은 매일이 차곡차곡 쌓여서 만들어진 위대함입니다. 특별하지 않았지만 소중한 나나들이 기록을 통해 잔잔히 빛나고 있습니다. 올 한 해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별일 없는 하루가 특별한 어느 날 보다 힘들다는 건 큰일을 겪어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일상의 소중함입니다.

2018년 어떻게 보냈나요? 다사다난 했지만 특별히 아프거나 괴로운 일들이 없었다면 정말 잘 보낸 한 해입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모두에게 긍정적인 기운을 더해줄 김종광 에세이를 추천합니다. 괴력난신(怪力亂神: 이성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불가사의한 존재나 현상) 한 일들이 일어나더라도 분노하거나 두려워하지 않고 평온을 유지하는 한해 되시길요! 모두 모두 웃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