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떡하죠, 마흔입니다 - 흔들리지 않는 삶을 위한 마음철학 수업
키어런 세티야 지음, 김광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언가를 최선으로 뒤바꾸는 일은 계획의 문제가 아니다.
관점의 문제라기보다는 운에 달렸다.


어느덧 삼십 대에 들어섰고, 나이를 먹었습니다. 언제나 청춘일 것 만 갔았는데 유속처럼 흐르는 세월은 누구도 잡을 수 없나 봅니다.

내 마음이 소리를 들은 것 만 같은 제목 《어떡하죠, 마흔입니다》는 마흔을 바라보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시간의 비가역성을 극복해야 하는 모든 사람을 위해 쓰였습니다. 일반적인 자기계발서 와는 다르며, 중년의 도전을 이겨 내기 위해 배워야 하는 철학적 성찰을 다루는 일종의 응용 철학 저작물입니다.  

책은 고대 로마 시대의 아리스토텔레스, 쇼펜하우어, 존 스튜어트 밀부터 버지니아 울프, 시몬 드 보부아르까지. 당시 현자들의 조언과 격려를 자연스럽게 녹여냈죠. 중년의 위기를 거듭 강조하고 있는데요. 중년은 꼭 40대의 심리가 아닌, 누구나 겪을 수 있는 개인의 감정적 위기라고 정의합니다.

 

유아기와 사춘기에 해결하지 못하고 깊게 넣어버렸던 고민들이 흔히 말하는 '사십춘기'에 올지도 모릅니다. 인생의 반환점이자 선택 못한 것들에 대한 후회가 밀려올 때 이 책을 잃는다면 도움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00세 시대, 중년은 뭘 시작하기에 적당한 때이지 결코 늦은 때가 아닙니다. 철없는 10대, 수많은 실패를 경험해도 패기 넘치던 20대, 시행착오를 겪으며 경험을 쌓아 실천을 꽃피우는 30대, 마흔은 100세를 기준으로 봤을 때 반 백살,  중간 이자 제2의 인생을 살기 안성맞춤인 나이입니다.

한 분야에 (준) 프로급이 되었고, 세상살이도 어느 정도 겪어 보았죠. 이도 저도 아니라면 지금까지 만나왔던 사람, 먹었던 음식의 수나 무게도 무시할 수 없을 나이입니다.

대다수의 중년들에게 두려움, 위기, 포기란 단어가 어울릴 때, 당신은 제2의 인생, 세컨드 라이프를 꿈꿔보세요. 중년의 위기라니요. 인생은 마흔부터가 시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