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7
정용준 지음 / 현대문학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형수 474는 해석할 수 없는 사람입니다. 열두 명, 당 총재를 비롯한 현직 국회의원 셋, 청와대 관련 인사 넷, 경호원 하나, 일반인 셋을 죽였지만  일말의 가책도, 뉘우침도 항소도 하지 않는 남자. 마치 자신이 맡은 일을 성실히 수행하는 직원처럼 깔끔하게 진행된 계획, 교도소에서도 착실한 모범수인 474를 흥미로워 하는 교도관 윤은 사형수 474가 흥미롭습니다.



"별의별 놈 다 봤지만 이런 캐릭터는 없었어. 이상해. 묘한 태도 하며 지나치게 여유로운 것도 그렇고. 너무 깔끔하잖아. 죄를 받아들이고 모두 인정하고 있어. 그런데 뉘우치고 반성하는 태도는 아니야. 달라. 뭔가 다른데 그게 뭔지 모르겠단 말이야. "

474는 윤의 호기심을 자극합니다. 행동에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애초에 의도도 목적도 없는 자연 같은 존재라고 생각하라는 474는 좀처럼 감정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그래서 마음대로 그의 내면을 상상하기 시작했죠.

하루에 열둘을 죽인 남자가 지신의 몸에 난 상처는 견딜 수 없는 이유, 자기 발로 죽으려고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의 사형수 474. 매일  면회를 거절을 당하던  신해경의 소식을 듣고  474은 처음으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는 통증을 느낄 수 없다고 합니다. 사람을 죽이는 일을 했고, 그 후에는 전리품처럼 콜라를 마셨다고 합니다. 교화를 목적으로 만난 목사에게 이렇게 말합니다. 사형을 집행하라고, 그 말을 전하지 않으면 내가 널 찾아 죽이겠다고. 사람을 여럿 깔끔하게 죽인 그가 말하는 협박에 목사는 두려움에 떨 수밖에 없죠.


"저 별처럼 사수의 운명을 타고 함박눈이 쏟아지는 한 겨울에 태어났지. 그래서 사람들과 떨어져 지내야 하는 거야. 그러나 명심하렴. 너보다 아름다운 사람은 없어. 너보다 강한 사람은 없어."



소설은 악(惡)이 과연 만들어지는가, 태어나는가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을 말합니다. 고통을 느끼지 못하고, 죽음에 흥미를 느끼는 충동. 그 무서운 본능을 처음 알게 된 순간, 참을 수 없는 격정에 사로잡히는 순간이 대물림 되었죠.

여자는 무서웠던 겁니다. 동생이 아니라 동생을 해칠지도 모른다는 자기 자신에게 말입니다. 나 같은 괴물이 세상에 하나 더 있다는 사실을 두려워해야 할지, 연민을 느껴야 할지 할지 쉬이 정의하지 않습니다. 판단은 독자들의 몫입니다.


현대적이면서도 첨예한 작가들을 선정해 독자들과 마주할 예정인 하나의 시리즈면서도 독립적인 특성을 갖는 핀 시리즈. 소장용으로도 손색없는 한국문학 컬렉션입니다.

편혜영을 시작으로 박형서, 김경욱, 윤성희, 이기호, 정이현 , 정용준까지 여정을 마쳤습니다. 핀시리즈의 후속작들이 기다려집니다. 한국문학에서 찾아보기 힘들었던 경쾌한 아이러니를 느껴볼 기회 놓치지 마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