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함부로 판단할 수 없다 -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지는 심리 수업
테리 앱터 지음, 최윤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칭찬은 강력한 정서적 약물과 같아서 적절한

 용법과 용량, 알레르기 반응 등의 주의 사항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당신은 하루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을 판단하나요? 처음 만나는 사람을 보며 긍정적일지 부정적일지 관계를 맺어도 될까 쉼 없이 재로 따지게 됩니다. 

사실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마주하는 모든 것을 탐색하고 판단합니다. 자라나면서 자신에 대한 다른 사람의 판단도 경험하게 되죠.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칭찬과 비난에 상당한 에너지를 쏟기도 합니다. 아이들만 봐도 알 수 있죠. 늘 부모에게 칭찬받고 예쁨 받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행동과 표정이 평생의 과업임을 그땐 알지 못하겠지만요.
 

우리의 판단은 어린 시절의 사랑과 욕구, 두려움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이 기억들은 우리의 내면에 깊이 자리하면서 삶과 성취, 인생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에 대한 판단의 근거로 작용한다.

칭찬과 비난은 결코 피할 수 없는 인생에서 꼭 필요한 부분입니다. 책은 이렇듯 관계 맺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말의 과정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습니다. 

남의 비난에서 벗어나는 법, 칭찬이 꼭 고래를 춤추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 칭찬과 비난의 균형을 맞추어야 하는 결혼생활, 가정에서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는 방법, 보이는 것에만 집착하게 만드는 SNS의 피상적 칭찬의 경고 등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지는 심리 수업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순히 타인의 시선을 피하는 방법이 아니라, 그 시선에서 나만의 방향 키를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다양한 사례부터 두 딸아이의 엄마로서의 관점, 최신 연구결과가 뒷받침되는 논리적 근거까지 더해 삶의 통찰을 만들어갑니다.


즉, 인간은 판단하는 존재고, 내면의 판단 장치는 사회적 동물로서 우리의 삶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임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무조건 억누르기보다는 자신의 판단을 충분히 이해하고 끊임없이 성찰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자기 평가가 먼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진정한 휴식을 누릴 수 없으며, 마음 챙김이나 명상, 뇌 호흡 등의 수련은 마음을 쉬게 할 뿐만 아니나 재충전의 기회도 제공합니다. 내면의 판단 장치에 귀 기울이며 필요에 따라 과감한 수정도 불가피하다는 것, 평생 동안 해야 할 나와 타인과 관계 맺기에 가장 중요한 일임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