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자본론 - 얼마를 벌어야 행복해질까
다치바나 아키라 지음, 박재현 옮김 / 시목(始木)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은 어떻게 얻어지는 걸까요? 행복의 정의는 사람마다 다를 것 같습니다. 지금 당장 편하고 맛있는 집에서 쉬는 일이 행복일 수 있고, 일적인 성공, 좋은 배우자를 만나 결혼생활하는 것, 어쩌면 잘 죽는 일 등 행복에 가까워지기 위해 오늘도 고군분투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입니다.

책은 일본 아마존 종합 베스트셀러이자 '다치바나 아키라'의 역작 《행복의 자본론》 은 돈과 행복의 연관관계를 명쾌하게 집어 자본주의 사회에서 행복을 찾는 흥미로운 소재입니다. 행복은 마음가짐에 달려있지 않다고 말하는 도발, 소확행은 거짓이다는 말, 어떤 이야기일까요?

책에서 말하는 행복은 눈에 보이지 않는 힐링이 아니라 돈, 일, 인간관계라는 세 가지 인프라로 구성된 토대여야 가능하다고 합니다.

 

 금융자산 : 조달한 자본을 운용해 부를 만들어 내는 것
인적 자본: 자신의 노동력을 노동시장에 투자해 급료나 보수라는 부를 얻는 것
사회 자본: 주의 사람들과의 관계로부터 얻어지는 부

 

 

 

 

 

 

책은 요즘 유행인 소확행이 정말 행복일까, 생각의 전환을 만듭니다. 멀리 있거나 손에 잡히지 않는 뜬구름 잡기식의 행복보다, 지금 당장 실천하고 가질 수 있는 소확행에 머물라는 메시지는 과연 행복하게 만들어 줄까요?

하루다 다르게 치솟는 물가, 원유 가격, 사상 최대의 실업률과 자영업 폐업률, 천정부지로 올라가는 집값 앞에서 갓 구운 빵을 먹는 행복, 샤워한 후 나와 뽀드득 한 기분을 운운하지 말라고 말합니다. 책은 행복의 무형질을 유형질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그 행복에도 '자본'이 필요하다는 것!

그 자본은 돈, 인맥, 일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만들어집니다. 이 세 가지를 모두 잃는다면 최빈곤 상태에 당도하게 됩니다. 행복의 기원, 가치, 목표를 다시 생각해 보게 하는 책입니다. 미래를 계획에 적극적이고 직장을 다니고 있는 30대 이상이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행복추구권에 따른 조직에 속해 살아가는 삶보다 자유롭게 일하는 사회로 변해 갈 거란 전망입니다. 전 세계적인 우울증의 증가는 가장 어렵다는 대인관계에서 오는 복잡함 때문일 테지요.

고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행복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합니다. 멀리 있지 않는 어쩌면 치르치르와 미치르가 찾았던 파랑새가 가까이 있었듯, 행복한 인생을 위해 노력할 때가 가장 행복한 일일지 모른다는 명제를 책은 증명하고 있는 듯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