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일할 것인가
아툴 가완디 지음, 곽미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의사는 사람의 생명을 살리는 직업일까요? 죽이는 직업일까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자라고 생각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다이너마이트를 만든 노벨처럼 동전의 양면성은 언제나 존재하는 법! 의사뿐만 아닌 스스로 일을 대하는 최선의 태도는 무엇인지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는 늘 선택을 해야만 한다.

 항상 올바른 선택을 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의 선택을 더 나은 것으로

만들 방법은 늘 존재한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로 장기 베스트셀러에 오른 글 쓰는 의사 '아툴 가완디'가 이번엔 '일 잘하는 의사가 된다는 것'을 주제로 철학적인 접근을 시도했습니다.  책 ​《어떻게 일할 것인가》는 의료의 중심이 의사가 아닌 환자라는 저명한 사실을 구심점 삼아 의료 현장에서 최선을 하다는 모습뿐만 아닌,  일을 대하는 태도를 들어볼 수 있는 '태도 인문서'입니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지닌 능력을 능숙하게

사용하는 것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때로는 상충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


 



그는 제대로 된 의료인이란 성실함, 올바름(윤리), 새로움이란 자질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본인을 필두로 다양한 환자와 의사의 사례를 넣어 놀랍고도 정밀한 접근을 시도합니다. 이로써 의사도 실패할 수 있음을, 잘못된 길로 갈 수 있음을 알려 삶과 죽음의 최전선에서 활약하는 굿닥터의 표본을 보여줍니다.


"한때는 의사로서 가장 힘든 싸움이 기술을 터득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니었다. 비록 일에 자신감이 붙기 시작하려는 찰나 실패를 겪고 좌절하곤 하지만 말이다. 내가 깨달은 바로는, 의사라는 직업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는 능력 안의 일과 능력 밖의 일을 아는 것이다. "

손 씻기 캠페인을 통해 이뤄낸 성과,  소아마비 소탕작전, 전쟁에서 전사자를 줄이는 방안과 이면, 샤프롱(환자를 안심시키고 성적으로 부정한 행동을 막기 위한 동성 간호사나 가족, 보호자 등의 동석 제도)에 대하여, 의료사고의 허와 실, 사형집행인이 된 의사, 출산의 발전 등 그가 보여주는 촌철살인 분석력과 따뜻한 모습이 흥미로우면서도 철학적입니다.

마치 그는 마블 영화에서나 나올법한 현실 속 히어로처럼 보이기도 했으며, 나는 과연 내가 맡은 일을 얼마나 잘 해내고 있을까, 더 잘하고 싶다는 열망이 들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시도를, 변화를 모색하라. 자신이 성공하고 실패하는 횟수를 세어 보라. 그것에 관한 글을 쓰라. 사람들의 생각을 울어보라. 그렇게 대화를 지속해 나가라."


책장을 덮고 나니 우리나라에 '이국종 교수'가 있다면 미국에는 '아툴 가완디'가 있다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북한 병사의 목숨을 살리고 누구보다도 생명 중시 본연의 의미와 윤리적 책임감이 앞선 의사 직업윤리 표본을 마주하니 경외감마저 듭니다.  

 


아툴 가완디는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가장 단순하고 상식적인 이야기로 비치겠지만 의사가 따라야 하는 원칙은 늘 싸우라는 것, 환자를 위해 포기하지 않고 무엇을 더 해볼 수 있을지 밤낮없이 찾아보는 것'이라고요. 책을 다 읽고 나니 내가 하고 있는 일이 어쩌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작은 희망을 엿보았습니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습니다.  오늘도 세상 구석구석에서 자신의 맡은 바 소임을 다하고 있는 작은 영웅들이 있어 아직 세상은 살아갈만 곳이란 생각도 듭니다. 아툴 가완디의 따스한 울림이 오늘 하루, 힘들도 지친 모든 이에게 값진 선물이 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