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 법칙
편혜영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상상하고 꿈꾸는 모든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늘 더 조금씩이라도 나아질 것이라 믿었던 대학 시절에, 내 아리송한 전공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냈던 개념을 기억해냈다. '점이 선이 되고, 선이 면이 되고, 거기에 시간이 더해진다' 우리는 늘 시간의 틈에서, 혹은 시간이 늘 우리의 틈에서 존재하니, 당시에는 나름 그럴듯한 설명이라고 여겼었고, 지금도 그 생각에는 (정확히는 내가 지향하는 삶의 방향이 갖는 특성에 관한 나름의 이해에 대해) 큰 변함이 없다. 하나의 점인 우리들은, 무수한 점들과 만나 선으로 이어지고, 그것이 면이 된다. 시간은 늘 어딘가에, 어디에도 존재해왔고, 존재해갈 것이다.

 

 이야기는, 점이라고 표현될 수도 있을 인물들의 삶에, 가장 안쪽에서 그들을 타인과 연결시키던 선이 느닷없이 파괴됨으로써 (혹은 인지하면서) 시작한다. 윤세호는 자신이 출타했을 때 집에서 벌어진 가스 폭발로 아버지를 잃고, 신기정은 물에 빠져 죽은 동생의 죽음을 듣게 된다. 한 점의 소멸이 선의 소멸과 이어지고, 맞은편의 점들을 각각의 방식으로 변화시킨다. 서로 마주칠 수 없는 먼 지점의 점으로써 이들은 그들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들과 이어졌었던 또 다른 점의 소멸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소실된 선의 궤적을 따라간다. 절단된 선이 그들을 찌른 상처의 고통을 인지할 세도 없이, 그렇게 선의 끝 점은 다시 시작 점이 되어버린다.

 

 사람들을 피해 은둔생활을 하다시피 했던 윤세오는 대체 누군가에게, 무엇을 잘못한걸까. 그것은 아마 한 사람을 세상에서 단절시킬만큼 극악한 범죄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윤세오가 이수호라는 인물을 알아내고 추적하는 동안, 신기정이 동생의 주변인물들을 알아보며 윤세오에게 다가가는 동안 우리가 알게되는 (어쩌면 변함없는) 사실은, 대단한 일이 아니더라도, 분명하게 누군가의 삶의 방향을 바꿔놓을 수 있는 일들이 있다는 것. 삶은 늘 누군가에게 영향을 받곤하지만, 그것이 몇 배의 속도가 되기도 한다는 것.

 

 윤세오는 자신과 친하던 조미연을 통해 다단계로 발을 들였다. 윤세오의 이야기는, 예전에 보았던 기사 한토막을 떠올리게 했다. 다단계 판매를 하던 대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던 공간. 혀를 차며 보았고, 이제는 먼 남의 일처럼 잊고 살던 그 기사가, 동정도 비난도 없이 그려졌다. 오로지 하나의 목표를 향해서 이뤄진 비정상적인 집단. 가족보다 더 가까운 곳에서 함께 있던 이들. 하지만 그들은 가장 가깝고 견고하게 보이는 선의 형태에서, 가장 먼 점으로 존재했을 것이다. 서로를 필요로 했으나, 누군가는 자신의 목적을 위한 것 이었고, 누군가는 자신의 목적이 무의미한 실패로 치닫지 않게 위로해줄 대상이 필요로 했던 것이다. 딱히 악의라고 말할 순 없지만, 결국 선의가 아닌게 되어버린 행동들.

 

 이것이 비단 다단계 안에서의 선의 형태일까? 라는 질문이 들었다. 다단계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우리의 삶은 어떨까. 어릴적에는 마음이 맞는, 취향이 맞는 이들과 아무 조건 없이 이어지던 관계가, 점차 자신이 필요한 것들을 자신 스스로 얻어야만 하는 시기가 옴으로써, 그것에 도움 줄 이들을 만나게 되는 과정. 혹은 자신이 느끼는 고독과 외로움을 상쇄시킬 이들을 찾는 일. 다단계라는 형태가 그런 관계를 두드러지게 드러내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은 이미 다른 형태로 우리의 일상에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를 타인과 연결하는 선이 늘 그런 목적을 가진 형태로 존재하진 않는다. 때때로 선은 단절을 이야기 하기도 한다. 선은 언제든 변할 수 있고, 언제든 다른 점을 향할 수 있고, 또 그럼으로써 언제든 다른 선을 가로막을 수 있다. 어떤 것은 선 사이를 관통하기도 하지만, 어떤 것은 가로막힌다. 조미연이 부이를 만나며 윤세오와 이어진 선이 변화했 듯 (혹은 변화한 후 부이를 만나든), 신기정과 신하정의 관계가 애초에 다른 (부모들의) 선을 통해 위태롭게 연결되어 있던 것처럼. 선은 점을 이어주기도 하지만, 관계의 공간을 분리하기도 하듯, 가족이라는 테두리나, 다단계를 위해 한 공간에 있던 인물들도, 그물망처럼 이어진 선들이 결국은 점을 연결시킨 것이 아니라 공간을 나눠, 그들을 선으로 둘러쌓인 좁은 공간에 가뒀을 뿐이다. 선의 양면들은 선이 존재하는 한 이어지지 못한다. 누군가와의 이어짐은 누군가에게 단절이듯. 다단계가 그들을 가느다랗게 연결시키고, 타인과 단절시키듯. 우리를 단절로 몰아가는 것은, 선을 점으로 몰아가는 것은, 악인가. 악의 인가. 추측할순 있지만 단정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선이 그렇게 연결된 타인을 스스로, 혹은 타의로 단절시키기도 한다면, 그것은 왜일까. 다단계는 그런 그물망 같은 선의 연결에서도 왜 각자가 고립되는가. 선의 실패, 혹은 선이 나눈 공간의 단절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 그것은 악의에서 시작되는 걸까? 그렇다면 그 악의는 누구로부터 시작되는가. 만약 윤세오가 그런 악의를 추적했다면 어느 점에 닿을 수 있을까. 자신? 혹은 자신을 불러들인 친구? 혹은 그 친구를 불러들인 누군가? 아니면 그런 시스템을 만들고 현혹하는 저 보이지 않는 누군가? 과연 진짜라고 부를 수 있는 시작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기는 한걸까

 

 그것들은 너무 먼 이야기처럼, 요원해 보이기까지 한다. 하지만 윤세오와 이수호를 놓고 보자면 이야기는 좀 더 단순해진다. 어쩌면 둘의 시작은 비슷했다. 부족했기 때문에, 그들이 주어진 환경에 최선의 선을, 그러니깐 곧 최선을 선택해야만 했다. 삶의 앞에 무엇이 있을지는 짐작할 뿐이지만, 삶의 뒤에는 무엇이 있었는지 명징하게 알고 있었을 테니깐. 눈딱감고 한번 나아간 것이, 일상이 되어갈수록 죄책감이나, 선이나 악이나 따위는 흐려졌거나, 혹은 저 아래로 묻혀버렸을 것이다. 그들은 자신이 책임져야할 어떠한 것들에 대한 나름의 선의가 있었고, 타인에게 악의로 다가설 그 선의에 무뎌졌을 것이다.

 

 선의와 악의는 선을 긋고 잘라낼 수 있는게 아닌, 복잡하게 얽힌 선의 흔적을 담고 있을 것이다. 누군가에게 선이 누군가에겐 악이듯. 이수호가 자신의 어머니에게는 선이었 듯, 윤세오가 자신의 아버지에게 선이었 듯, 신기정이 신하정에게 그랬듯이. 그리고 그 선과 악이 저울처럼 오르고 내리듯, 선의와 악의는 본래 그런 형태를 띄는게 아니라, 누구에게 어떻게 향하느냐, 어떻게 받아들이냐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 하는 것 아닐까. 원도준이 훔친 물건을 신기정에게 준 사실은, 들키기 전까지는 나름의 선이었으나, 진실이 밝혀진 후에는 악이 되었다. 결과적인 선악은 구분될 수 있지만, 과연 그 시작 점이 늘 선의고, 악의였다고 말하기는 부족하다. 그것은 무엇보다, 우리의 삶이 증명하고 있을 것이다. 악의는, 선의는 으레 그에 타당한 결과를 내어주지만, 종종 우리의 기대와 어긋나지 않는가.

 남에게 상처주지 않고, 상처받지 않으려는 욕심을 버리자 다짐했던 어린 날의 치기어린 기억이 문득 떠오른다. 이미 어릴적부터 너무 일찍 그것을 포기해버린건 아닌가 싶다. 물론 삶은 그런 다짐과 상관없이, 상처입지 않으려고, 상처주지 않으려는 나름의 발버둥의 연속이었다. 이 발버둥은 나와 타인에게 어떤 형태로 남아있는걸까.

 

 어쩌면, 작가가 말하고자 했던 것은 쓰여진 것이 아니라 쓰여지지 않은 것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점 하나, 선 하나 명징하게 쓰여야 할, 묘사되었어야 할 부분. 작가가 묘사하지 않은, 이세호의 집에 윤세오가 남겨두고 온 가스선. 마치 윤세오의 집에 덩그러니 남겨있던, 잘렸는지 빠졌는지 추측할 순 있지만 결코 단정할 수 없는 가스선 처럼 우리 모두를 연결했던 선의 마지막은 그런 모습이지 않을까. 사건인지, 사고인지 그저 추측만 가능한 것들. 윤세오의 행동에서 빠진 그 부분, 결정적인 그 부분. 그것은 어쩌면 빠진 것이 아니라 그려질 수 없는 부분이었을지도 모른다. 신기정처럼 윤세오처럼, 하나 하나 추적해나가보지만, 결국은 헤아릴 수 없는 깊고 넓은, 어쩌면 미궁처럼 얽혀있는 그 부분. 그래서 어쩌면 혹은 그렇기 때문에 나는 그 부분이 부재했다고 받아들였다. 그것은 논리적으로 닿을 수 있을 것처럼, 마치 점 처럼 보이던 그것은 엉킨 실타래 였던 것이다.

 

 

 우리는 우리에게 소멸된 선들이, 우리의 삶을 관통하고, 흔적만 남아있는 그런 선들이 누가, 언제, 왜, 어떻게 그렇게 되었는지, 그것이 시간의 법칙에 의한 단절이었는지 누군가에 의한 절단이었는지 아마 분명하게 알지 못할 것이다. '선의 법칙'에 결코 정리될 수 없는 법칙이 존재한다면 아마 이런것이 아닐까. 이미 선의 존재를 잊고, 잃어버리기 시작하면서 뒤엉키기 시작해서 온전히 찾아내지 못하고 단지 추측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 추측은 대부분 늦다. 자신과 연결된 누군가가 이미 사라진 후 니깐. 혹은 돌아갈 수 없을 때니깐. 그래서 우리는 결코 왔던 길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시간 뒤로 두고온 선을 기억하며 앞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알게될지도 모른다. 그것들 대부분은 누구 하나의 대단한 의지가 아니라, 하나 하나의, 점과 점 들의 작은 의지, 혹은 사고라는 것을. 그것들이 거대한 폭발처럼 느닷없이, 혹은 타인의 비극사이에 조용히 묻어 삶을 흔들어 왔다는 사실을.

 

 선명하게 잘라낼 수 없는 선의와 악의 모호함, 선의 절단에 대한 불분명한 추측을 무릅쓰고, 우리에게 남아있는 선을, 앞으로 뻗어나갈 선을 지탱할 수 있는 최선은 무엇일까. 할 수 있는 것이 많지는 않겠지만, 윤세오와 이수호의 엇갈린 운명에서 우리는 각자 한 인간으로서의 최선을 생각해볼 순 있을 것이다. 그것은 그저, 진심으로 선의를 다하는 것 뿐일지도 모른다. 때로는 그것이 우리를 단절시킬지라도. 선을 지탱할 수 있는, 타인과 자신이 올바르게 공존할 수 있는 (나름의) 최선은 선일 수밖에 없으니깐.

 하지만 무엇보다, 선에 대한 외면들이 쌓이고 얽혀서 우리를 이어놓은 선이 절단되거나 끊겨져 있음을 발견했을 때, 이유와 과정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덩그러니 잘려진 선의 단면이 이미 우리를 파고들었음을 발견했을 때 과거의, 현재의, 그리고 미래의 우리에게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이미 우리가 애써 그 선의 파열을 인지하고, 그 지난한 추적을 끝내고 나서야, 우리는 그 시작에서 무엇을 했어야만 했는지 알게되는지도 모른다. 가냘픈 선을 위태롭게 부여잡고 있던 나와 누군가를, 끊겨버린 선이 날카롭게 파고들었을 나와 누군가를 애도하는 일. 그들은, 그리고 우리는 그 순리를 받아들이기 위해 이다지도 멀리 돌아왔는지도, 혹은 돌아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