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을 만들다 - 특별한 기회에 쓴 글들
움베르토 에코 지음, 김희정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움베르코 에코는 그야말로 지식의 대명사다.

 적을 만들다. 이 책을 읽다보면 이 책을 쓴 사람에 대해 존경을 금치 못한다.

 어떻게 아는 것이 이렇게 방대할 수 있으며 에코의 생각은 결코 치우치지 않는 신선한 충격을 가져다준다.

 

  하나하나의 주제에 따른 명백하고 전염될 수 밖에 없는 그의 글을 따라 읽노라면.. 예상할 수 없는 뜻밖의 상황에 맞딱드리게 되는데 긴가민가했던 요소들이 흩어지고 분해되고 다양한 시각에 의해 재생산되는데 이렇게 다시 태어난 무언가가 이제까지 생각해보지 못했던 참신한 시각을 지니게 해준다.

 

 아.. 이래서 대가의 글은 다르구나.. 하는 걸 느끼게 되는데 이 책은 정말 아껴서 아껴서 읽고 싶고 다시 읽고 싶고 곱씹고 싶고 천천히 읽고 싶은 그런 책이다. 어렵다고 생각하다가도 하나의 주제의 마지막 부분을 읽을때는 명쾌한 정리가 되고 에코라는 사람의 사상이 명료해지면서 에코만의 정신세계가 완성되는 기분이다.

 

 사실 내게는 에코의 논문 잘 쓰는 방법이라는 책과 세상의 바보들에게 웃으면서 화내는 방법이라는 책이 있는데 이 두 책을 아직 다 읽어보진 못했고 틈틈히 아무장이나 펼쳐 읽는데 에코의 글은 어려운 듯 하다가도 사실 아주 잘 읽히게 하는 신기한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책이 아담해서 손에 쥐는 촉감도 좋고 빨간색, 파란색의 색감이 뭔가 더 책에 대한 애착감을 가지게 해서 모양새까지 잘 갖춘 내 마음에 쏙 드는 책이다.

 

 적을 만들다는 우리는 다른 이의 현존을 통해서 내 자신의 존재감을 알 수 있고 여기에 근거하여 공존과 순응의 규율들이 세워진다는 것이 골자인데 사실 다른 이에게서 우리는 장점보다는 단점을 더 쉽게 발견하고 거기에서부터 생기는 갈등으로부터 좋은 것보다는 나쁜 것을 더 많이 기억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우리는 그들을 적으로 만들고 지상에다 산 자들의 지옥을 건설한다. 사르트르의 작품을 인용한 부분은 정말로 인상 깊은 내용이었는데 사르트르의 책도 반드시 읽어야 겠다는 다짐이 들만큼 이 글에서 매력적으로 인용되었다. "철학 한 입 더"에서 언급되었듯이 사르트르가 변질되고 우리가 모두가 삶이라는 무대에서 연기하고 있는 인물일 뿐이다.라고 한 것처럼 그 조차도 말년에는 명성으로 만들어진 사르트르라는 새로운 인물을 연기하는 아이러니에 빠지지 않았다면 아마 사르트르는 더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있었을지도 모른다.  

 

 권력은 적을 만듦으로해서 더 굳건히 유지되고 적은 나쁘고 부패하고 악의 존재로 만들어야 그 효과는 배가 된다.. 우리 나라의 현상태를 보면서 적을 만들다는 왠지 더 공감이 되는 내용이었는데 북한과 남한이 서로를 적으로 견제하고 서로를 보다 나쁜 악으로 만들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는데다가 헐뜯고 공격하는 모습이 어찌도 이렇게 적을 만들다라는 작품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잘 나타내주는지..

 

 그 외에도 절대와 상대에서는 베르나르가 말했던 그 절대와 상대에 대한 논의와는 또다른 매력적인 이야기가 전개되어 있는데 어찌보면 이 글을 통해 회의주의가 더 살아난다고 할 수 있다. 회의주의로써 딱. 모든 것은 의심되고 나의 존재 자체도 부정될 수 있는 흘러가는 어딘가에 지나가는 티끌 같은 존재가 사람이고 우리가 사상이라고 말하는 그 모든 것들일 수 있다. 여기서의 핵심은 절대냐 상대냐를 따지기 전에 그것을 논하기 위해 명제가 등장하는데 이것을 읽는 것이 흥미롭다. 삼단논법과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식 데카르트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그 외에도 불꽃의 아름다움, 검열과 침묵, 빅토르 위고 과잉의 시학, 상상천문학.. 등등.. 주옥같은 그의 만물학자 같은 이야기가 우수수수 전개되는데. 상상천문학이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웠다. 사실 흥미로운 것이 한 두개가 아니었는데 나는 이번 에코의 작품을 보면서 너무너무 재밌게 읽었다고 해야 할까. 오랜만에 이렇게 핵심을 딱딱 잡아서 풀어낸 책을 만난 느낌이다. 내 생각에 이 책 한권을 읽고나면 한동안 아무 책도 읽지 않아도 지적으로 충만해진 기분이 들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