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 너희들의 도둑질을 계속 참는다면
   우리는 언제까지고 배가 고플 것으로 생각했고,
   손에 넣을 수 없는 새하얀 빵도 유리창을 부수면
   손에 넣을 수 있을지 어떨지 확인해보고 싶어졌다

             - 베르톨트 브레히트


 

 

 

 


 연말이 다가오면 크리스마스가 거의 세계의 축제가 되고 예수의 '사랑'이 주목받아 불우한 이웃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기가 다가온다.
 '불우한 이웃'을 생각하며 온정을 베푸는 인간미의 회복이 강조되는 것이다.
 
 세계화가 되면서 '불우한 이웃'은 단지 나라안의 힘든 이웃만이 아닌 전세계의 대상을 바탕으로 한 '불우한 이웃'들을 돌아보게 되었다. 국가적 빈곤과 기아문제의 불편한 진실을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화두에 세운 저자 '장 지글러'는 책에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문장과 구성으로 쉽게 이 문제를 인식할 수 있도록 서술하고 있다. 그동안의 복잡하고 어려운 설명으로 도대체 답이 나오지 않을 것 같은, 그래서 결국 그 나라 정치와 사람들의 문제점만 붉어지고 구호대책은 밑 빠진 독에 물붓기식의 문제가 될 뿐이라고 자포자기식이 되어 외면하고 말아버리는 것이 제 3국의 빈곤과 기아의 현실이다.     

 

 그런데 그 이면에 숨겨진 부자 나라의 음모와 결국 빈곤에서 벗어날 수 없는 시스템을 옹호하는 그들의 비양심적인 이기심에서 세계의 극빈층 나라들이 조정되고 있었다는 불편한 진실을 위선의 가면을 쓴 선진국의 관리들이 쉬쉬하는 사실을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고 있을까.

 

 본격적으로 기아 문제를 화두에 삼고 해결하고 말겠다는 의지가 있었다면 그리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장 지글러의 책을 읽고 나면 드는 생각이다. TV에 나오는 굶어죽어가는 아이들의 모습과 열악한 환경 속에서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안타까운 모습은 당장 도와줄 수 없어 한 생명을 놓치고 만다는 것에 대한 무력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그렇다면 도대체 왜? 그들은 그런 환경속에서 스스로 개선하려는 의지가 없는가. 또 왜 구호물품이 있는데도 그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나는가. 왜 그 나라 정부는 개인의 이익밖에 모르고 미래를 내다보지 않는가. 그 모든 물음들이 머리속을 복잡하게 한다. 그래서 답이 없는 이런 물음을 계속 생각하느니 그냥 무력하게 바라보고 외면해버리는 사람이 많지 않던가. 그렇다 하더라도 우리는 계속 그 문제를 생각해야 하고 화두에 삼아야 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촉구해야 한다.

 

 지금은 그것이 딱히 우리와 상관이 없는 일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다시 생각을 전환해서 생각해보자. 환경으로 방향을 돌려보면, 지구상의 어떤 나라가 겪는 환경의 변화는 지구 전체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특정 나라가 자국의 환경에 손상을 입히는데도 국제 환경 연합회가 관여하여 제재나 설득의 협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국 환경은 나비효과방식이다. 세계화는 경제 또한 나비효과방식을 따르게 한다. 한 나라의 경제 문제는 다른 나라에게 영향을 미치고 독점이나 음모, 조작 같은 부패 또한 전세계적으로 전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빈곤과 기아가 과연 그 나라 자체만의 무지와 부도덕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지글러는 학교에서 왜 기아문제를 토론하지 않는 것인지 의아해하며 그것은 바로 부끄러워하기 때문이라는 답을 내놓는다. 그러고보니 낯선 나라의 빈곤과 기아문제에 대해서 TV에 너무 자주 노출되다 보니 그런 충격적인 모습에 무감각해지고 실감이 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도 보았다. 게다가 무력감과 외면 역시 함께 겪는 느낌이다. 이것이 결국 토론으로 이 문제를 대두시키지 못하는 부끄러움이 되고 만 것이 아니었을까. 양심을 참아야 하는 현실에 대한 자괴감 때문에.

 

 환경적인 문제 또한 부각되며 어떻게 기아와 연결이 되고 불합리한 세계질서라는 틀 안에서 이용되는지 서술한 부분은 섬찟한 분노를 일으키게 한다.

 

 120억 인구가 먹고 남을 만큼의 식량이 생산되고 있다는데 10만 명이, 5초에 한 명의 어린이가 굶주림으로 죽어간다. 이는 몇몇의 금융관계자와 이기적 기업의 비밀고안에 식량을 쌓아두고 그들 마음대로 주무르고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사람의 생명에 대해서는 아랑곳하지 않고 '돈'을 중심으로 모든 가치관이 형성된다. 생명의 숭고함은 없고 결국 잔인한 고통 속에서 죽는 처참한 기아만이 있을 뿐이다.

 

  그 나라의 정세가 어수선해서 도움을 준다고 해도 혹은 그들 스스로 일구어낼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주어도 그걸 원하지 않는 세력이 그 나라 사람 몇몇을 부추겨 소위 당장 눈에 보이는 금전적 이익과 거래하여 자국인들끼리 분쟁을 일으킨다. 그렇게 하여 나라를 부강시키려고 하는 긍정적 세력을 모조리 학살하고는 또다시 빈곤과 기아의 늪에  빠지게 된다.

 

 양심의 잣대는 이익을 위해 빈곤과 기아에 허덕이는 나라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갖다대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 문제를 더욱 토론하고 해결하기 위해 포기하지 않아야 한다. 그것이 이 책이 건네는 메시지다. 딜레마와 이데올로기. 이 모든 것들을 극복해내고 이루어내야 하는 불굴의 의지가 그 '희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