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현실의 비극이 극도로 고조될수록 허난설의 시는 진가를 발휘하며 읽는 이의 마음을 후벼판다. 시가 그저 감상이 아닌 육체와 마음을 짓이기는 고통을 거쳐 만들어진 것임을 알기에 그저 시만이 아닌 것이다. '인간의 일반적 운명보다 더 비참한 것은 없다' 루소는 자기 자신에게 말했다. 당대의 사회적 환경에 속하게 되면서 겪게 되는 허난설의 비극은 일반적 운명에서 벗어날 수 없는 비참한 것이었다.

 어릴 적 천재적인 시재를 발휘하며 인정받았으나 그녀의 그런 천재성은 시대적 요구조건에 맞지 않은 것이었으므로 불행하게 살 수밖에 없었다. 남존여비의 유교문화와 시집 관습, 여자로써 지켜야할 도리 등 조선시대는 여성에게 심적으로 많은 부담을 지게 하였으며 하찮은 취급을 받는 여성끼리의 공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그들끼리도 대립을 했다. 고부갈등은 대립 관계에서 파생된 갈래의 하나였다. 이전까진 아들을 통해 자신의 사회적, 위치적 욕구를 채울 수밖에 없었던 어머니가 자신의 아들이었던 아들이 며느리의 남편이 되는 것에 대해 질투심을 느끼기도 하는데 이런 히스테리가 같은 여성이었던 며느리에게 분출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그래서  다른 나라에선 익히 볼 수 없었던 고부갈등이 조선에선 유별나게 있었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고 하나 아직까지도 일반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기도 하다. 

 여색을 밝히고 과거에 낙방하기 수차례인 김성립이라는 아들보다 미모와 지성이 뛰어난 며느리는 시어머니에게는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고고하고 총명한 며느리에게 넌더리를 내며 그녀의 일거수 하나하나를 탓하는 시어머니의 지적에 난설헌은 언제나 마음이 안정스럽지 못하다. 시집 오기 전까진 몰랐던 사회적 관습과 고단한 삶의 모습을 시집 오고 나서 한꺼번에 겪게 되며 바람잘날 없이 불안스럽고 슬프다. 일반적으로 그 시대의 조선 여성들이 견뎌내야 했던 인내의 모습처럼 그녀 또한 흐트러짐없이 참아낸다. 첫 딸이 태어났을 때 시댁에서 대놓고 언짢은 기색을 비추며 아이를 한번 안아주지도 않자 딸의 운명 또한 자신과 같을 것이라 생각하니 애닳아 눈물을 흘린다. 아들이 태어나자 시부모와 남편은 화색이 돌지만 곧 난설헌이 외간 남자와 정을 통하였다는 누명을 뒤집어 씌우고는 아이들을 빼앗아 가버린다.

 자신이 낳은 아이조차 제대로 볼수도 안을 수도 없었던 난설헌은 뒤에 딸과 아들이 차례차례 급작스럽게 죽자 혼이 나간 것처럼 통곡을 하고 삶에 의지를 놓아버린다. 갈수록 여위어가는 생명이 꺼지는 듯한 그녀의 몸과 몰골을 보고 주위에선 안타까워하지만 시부모는 본체만체하며 냉정한 모습을 보인다. 여기에선 사회적 통념 뿐만 아니라 시부모의 행동을 통해 비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는데 이는, 전통적인 한국의 미인 '인정'이라는 것을 전혀 엿볼 수 없는 세태이기도 하다. 거기에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 형태가 가지는 권위적인 이념이 그리 바람직하지도, 아름답지도 않았다는 토대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다.    
 

 당대의 사회 환경에 대한 분노를 통렬하게 내뿜는 형식은 다름 아닌 난설헌의 여자로써의 삶을 통해서이다. 바깥으론 시대 사회적으로, 안으론 가족 사회적으로의 난설헌의 비극적인 삶에 대한 의식적 물음과 그에 대한 풀이로써의 이야기가 바로 이 소설이다. 그러니 비록 많은 부분에서 상상의 힘을 빌린 허구라 할지라도 그 속에는 진실의 목소리가 내재되어 있으며 충분히 그럴듯한 가능성으로 여겨진다. 소설을 읽은 사람이라면 후에 허난설이라는 여인을 떠올리면 이 소설이 생각남에는 어쩔 수 없는 결과일것이다.   

 
 '조선땅에 태어남도, 여자로 태어남도, 김성립을 낭군으로 맞이한 것도 제게 주어진 운명이겠지요. 그 운명에 따르지 못하고 어긋나고 삐거덕댄 것은 지나친 애착과 미련이 더께 끼어서 그랬던 것이겠지요.' -350p

  난설헌이 죽기전 하는 이 말을 통해 그녀가 끝내는 운명에 순응했다고 볼 수는 없다. 이런 그녀의 발언은 오히려 비극을 일으킨 전통적인 통념과 관습을 한층 부각시켜 비판하게 하는 구실을 한다. 애착과 미련을 버리고 결국 죽음에 이른 것은 생에서는 그 운명을 따를 수가 없었기 때문이 아닐까.

 이 소설은 혼불 문학상을 거머쥐었다.   


 '[혼불]은 개인의 독창성이 한 시대의 사회적 구조를 변혁한다는 근대적인 인식론을 거부하고 사회적 구조가 인간의 모든 의식을 결정짓는다는 푸코식 역사지리지에 의거해 세상을 가로지르거니와.' -368p

 '인간 주변의 사물과 관습에 대한 여성 특유의 세밀한 관찰, 그러한 사물의 질서에서 헤어나오지 못해 괴로워하는 인간 심리의 세심한 묘사, 근대적인 것과 전통적이고 전근대적인 것이 길항하는 근대적 시공간의 창출 등 다른 소설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요소'

 '혼불'의 특징을 비교해볼때 '난설헌'은 절묘하게 그 특징을 답사하고 있다. 이 소설을 읽는 것은 난설헌이라는 여인의 짧은 삶을 이해하고 사회적 구조와 인간의 의식 관계에 대한 고찰을 해보는 유익함이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에서 비롯된 비극적 삶을 비판적 판단을 통해 변화를 간구해보는 희망의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