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때로 현실이 너무 잔인하고 끔찍하더라도 우리는 그것을 회피하면 안된다. 그 피해는 고스란히 우리에게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문제를 정면으로 부딪쳐 나가야 한다.
 

 

 지금까지 윤리적으로, 도덕적으로 어떤 일에 대해서 내가 판단하고 정의를 물으며 옳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흔들린다면.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는 여태까지 내가 생각해본 적 있고, 그랬으나 결정하지 못했던 많은 시각이 관점에 의해 다르게 정의가 성립되는 것을 보여준다. 정의란 정해진 것일 수 없고 세상의 변화에 따라 그 시대의 정의가 존재한다. 하지만 어느 시대든 보편적인 옳음이 존재했을 것이다. 어쨌든, 시대의 정의를 논할때 집중해야 하는 것은 그동안 사람들이 그것에 대한 윤리적, 도덕적 결함을 찾으며 충분히 토론을 하였고 그 토론 속에서 충분히 옳다고 생각되는 결과를 끌어냈는냐가 중요하다.

 

 

 바로 이 점을 마이클 샌델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어차피 답이 나오지 않을 도덕적 딜레마를 생각해봤자 골치 아프다고 제쳐 둘 때가 많다. 하지만, 이런 도덕적 딜레마들은 언제나 생기는 것들이고 어차피 이런 딜레마들과 부딪힐 것이라면 그것에 대해 얼마나 결함이 적고 바른 결정을 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준비가 필요하다.

 

 

 이것이 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하는 토론이다. 문제시 되는 내용을 놓고 많은 사람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생각해봐야 한다. 마이클 샌델은 수많은 학생들에게 도덕적 딜레마가 되는 이야기와 사례에 대한 이야기를 던지고 그 학생들에게 의견을 내놓게 한다. 학생이 의견을 내놓으면 그는 약간 내용을 뒤틀어 다시 질문을 건네고 그 학생으로 하여금 지금까지의 고정관념을 뒤흔들어 놓는다. 뿐만 아니라 함께 듣고 있는 다른 학생들조차 지금까지 자신이 지닌 시각이 흔들린다.

 

 

 무엇보다 이 책이 흥미로울 수 있던 점은 현대의 여러 도덕적 딜레마들을 과거 최고의 철학자들의 눈을 통해 보고자 한 것이다. 처음 등장한 이야기는 부록 시디 동영상에도 나와 있었듯이 철로를 이탈한 전차에 관한 딜레마다. 한쪽에는 5명의 사람들이 있고 한쪽에는 1명의 사람이 있는데 전차가 멈추지 못하는 상황에서  기장은 1명이 있는 곳으로 전차를 돌릴 것인가에 대한 문제다. 5명을 살리기 위해 1명의 희생이 필요한가에 대한 물음이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라는 영화가 있다. 이 영화는 한명의 군인을 구하기 위해 많은 군인들이 희생된다. 이 영화를 보면 전차에서 5명을 구하기 위해 1명이 희생되는 이야기의 반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화에는  한 사람의 목숨이 다수의 목숨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을까. 라는 도덕적 물음을 저절로 생각해보게 한다.

 

 

 그런데 만일 한사람이 한 조국의 대통령이라거나, 매우 중요한 사람이라면, 이 한사람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희생된다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되는가. 한 사람의 천재와 10명의 바보가 있다고 치자. 10명의 바보보다 1명의 천재에게 교육적 혜택을 주고 싶은 게 도덕적으로 문제시 된다면, 10명의 바보들에게 교육적 혜택을 주고, 한명의 천재를 희생시키는 건 또 어떤가. 그건 도덕적으로 문제시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까?
 


 전차 문제는 여러가지 다른 상황에 대한 딜레마를 떠올리게 한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어느 것도 도덕적 정의가 성립된다고 보기에는 미흡한 점이 남는다.

 

 

 이 책에는 선뜻 답을 내놓기 힘든 사례들과 문제들로 가득차 있다. 칸트의 철학은 언뜻 많은 도덕적 문제를 설명해주는 듯하나 말의 아이러니에 의한 허점이 있다는 점에서 모든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해 주지 못한다.

 

 

 내가 가장 인상 깊게 봤던 건 존 롤스의 철학이었다. 우리는 흔히 운은 타고 난다고 말한다. 부잣집에서 태어나는 것은 운이고, 좋은 부모와 좋은 환경에서 좋은 대학을 가고 좋은 직업을 가지고 부모 세대와 같은 부를 누리는 것은 노력이 들어가 있지 않으므로 자신이 그런 부를 누릴 자격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맞지 않다. 그런 운을 타고 났지 자격이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여기까지는 모든 이가 수긍할 것이다.

 

 

 그런데 빌게이츠나 마이클 조던처럼 재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노력을 했을 때 그리고 그 노력으로 막대한 부를 얻었을 때 또한 그 사람이 부를 누릴 자격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것조차도 운에 속한다. 부자로 태어나는 것 뿐만 아니라 재능이나 좋은 사회나 국가, 환경에서 자라는 것 또한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부를 누릴 확률이 커진다.

 

 

 그렇게 운에 의해 얻게 되는 부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그에 따르면 이런 부를 소수만 누리다보면 소외되는 계층이 나올 것이고 소외되는 계층이 많아질수록 전체적 사회, 국가는 빈부적 격차로 인해 문제점을 불러온다. 그런 와중에 부자들은 자기들이 버는 돈의 일부를 세금을 내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그렇게되면 정부는 공공시설이나 공공 혜택을 줄이다가 결국 복지는 없어지고 말 것이다. 그렇게 되면 가난한 사람은 나라 안에 설 곳을 잃게 된다.

 

 

 지금까진 존 롤스의 철학의 허점은 찾아볼 수가 없었던 듯하다. 벤담의 공리주의, 아리스토텔레스는 나의 생각과 어긋나는 점이 많았고 마이클 샌델 또한 그런 그들 철학의 결점을 명확하게 끄집어내기도 했다.

 

 

 낙태문제와 동성애, 줄기세포, 아프가니스탄의 염소치기, 평등의 악몽, 증권사고 등 이 책에는 많은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로도 가득차 있으며 그런 이야기속의 딜레마에 명확한 논점을 제시하며 여러 시각을 살펴본다. 저자의 명철함과 흠잡을 때 없는 그의 논리적 철저함에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다. 지성을 현실앞에 끄집어낸 생생함을 느끼면서 책을 덮을 때 즈음엔 든든한 사고와 정의에 대한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