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쓰는 중간중간 신열을 앓았다고 했던가? 작가가 앓았던 그 열을 나도 앓았다면. 그래서 한번에 읽어내릴수도 없어 몇번이고 쉬었다가 읽었다가를 반복했다면.. 그 자리에서 쭉 다 읽어내려갈수가 없었다. 도중에 눈물이 앞을 가려 앞이 안보이기도 했지만 것보다 내 맘속에서 일어나는 무언가 알 수 없는 그 뭉쳐진 느낌 때문이었다. 책을 다 읽었을 때 또한 나는 바로 느낀 점을 적을 수 없었다. 그러면서도 내내 불안정했다. 이 책과 함께 몇일간을 불안정한 정신상태로 지내야했다. 꿈속에서 또한 자유롭지 못했다. 상황이 잘 기억나지 않지만 매우 압박스런 상황과 공포적인 느낌으로만 남아 있을 뿐이다.

 '도가니'라는 책이 내 손에 들려지는 순간부터 내 마음상태 또한 '혼란속의 도가니'였고, '독안에 갇혀버린 뭉쳐진 무언가'였다. 어쩐지 도가니와 독안이라는 말은 소리단어의 유사성과 더불어 느낌 또한 비슷한 느낌이다.

 실제사건은 광주에서 일어났던 일이라고 한다. 그 끔찍하고 어두운 재속에 갇혀버린 듯한 희망없는 공간 속에서 아이들은 하루하루를 어떤 것에 매달리고 견디며 살아 왔던 걸까. 어떤 권력과 돈 앞에서는 어떤 끔찍한 사건도 아무런 죄가 아닌게 되버리는 현실속에서 아이들은 무엇을 보고 어떤 인간의 형태로 커져버리게 될까.

 인간이 괴물을 만든다라는 말이 새삼 내 머리속에서 떠오른다. 아무렇지도 않게 양심을 팔아버리고 돈과 권력으로 죄가 죄가 아닌게 되는 면죄부를 사는 그들도 괴물이고, 그들을 받아들이거나 방관하는 그들도 또한 괴물이며, 그 속에서 아무런 입장도 가지지 않고 무관심한 그들 또한 괴물이다. 그 속에서 괴물이 아닌 채 어떻게 살아남겠는가. 결국 괴물에게 잡히고 모략질 당하고 마구 할퀴며 망신창이가 되어서야 괴물들에게 굴복하느냐. 괴물을 해치우기 위해 전념을 다해 싸울것이냐. 이 두가지 선택밖에 남지 않는다. 확률 또한 위험하기 그지 없는 불행한 싸움이지만 굴복하면 결국 자신 또한 괴물로 변해버리지 않겠는가.

 책속의 배경은 무진이다. 회색도시, 안개도시 무진. 그곳은 유령같은 사람들이 죽지 못해 살아내는 삶들의 모둠체다. 안개는‘은폐'를 뜻하며 청각장애인들은 그 은폐속에서 고립되어 노골적인 악과 마주하게 된다. 그 악속에서도 덮어지는 진실과 방관하는 자들에 의해 점점 더 두꺼워지는 거짓으로 인해 아이들은 신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점점 더 병들어간다. 이 곳에 나름대로 삶의 쓴맛도 보고 차디찬 인간관계도 겪어볼만큼 겪었다고 생각한 '강인호'가 피곤한 몸을 이끈채 던져진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여태까지 그가 겪었던 인생은 상식적으론 이해가 가는 한에서다. 평범한 가장이 사업을 했다가 망하기도 하고 책임져야 할 가정이 있는 무게정도의 가쁜 경험이다. 마치 아프리카나 빈민국의 아이들에게서나 볼 수 있는 희망에 대한 체념과 백색가면의 무표정한 얼굴의 아이들과의 첫대면에서 그는 학교에서 풍겨나오는 심상치않은 기운을 느끼게 된다. 이 날을 시작으로 그의 삶은 감당하기 힘들 정도의 무게의 덫에 걸리고 만다.

 
 빠져나오기엔 사건이 너무나도 잔인하고 악랄하고 도움이 될만한 사람조차 없는 악조건에서 평범한 사람들이 택할 용기에는 그리 범위가 넓지 않다. 방관이라는 유혹자가 와서 유혹한다면 그 손을 잡지 않을 사람이 실제로 많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강인호는 많은 평범한 사람의 대변인의 역할을 하며 많은 사람들이 '강인호'라는 인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전에도 진실이 파헤쳐질 시간은 많이 있었지만 그렇게 되지 못한 건 바로 그들이 자신의 삶의 무게만큼만 살아낼 평범한 사람들이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일을 알게 되는 사람들에게 더더욱 분노를 안겨줌과 동시에 출처를 알 수 없는 죄책감을 함께 느끼는 것이 아닐까.

 인간에게는 선과 악이 함께 존재한다. 악은 감시의 시스템이 없을 때는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다. 그럼에 불의에 대항하여 싸울 수 없는 청각장애자들의 진실을 들어주려고 하는 정의의 사도가 없다면 이 악은 활개를 쳐 결국 평범한 사람이라면 도저히 이해 불가능한 광란의 도가니가 되버리는 것이다.

 이 정의의 사도로써 서유진이 칼을 뽑아든다. 한국에서 성폭력에 대해 대항하는 세력은 항상 여자의 용기있는 모습이었던 것 같다. 남성들보다는 여성이 피해자일 비율이 높기도 하고 체력적으로 남성보다 약한 여성이 아무래도 약한 자의 대변인으로써 보여주는 열정과 용기는 남성들이 가진 내면의 체력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이들의 눈에서 초롱초롱한 빛을 빼앗아 노기 어린 핏기를 어리게 만든 원흉들은 어느정도의 모욕감과 수치심은 느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들이 법적으로 받은 형량은 터무니없다. 이로써 대한민국에서 죄는 돈과 권력으로도 살 수 있는 후진국의 정치와 별반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재판중에도 거리낌없이 행해지던 변호사집단과 힘있는 작자들의 상대적으로 약한 청각장애인들에게 가해지는 언어폭력과 모욕감은 인간군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기도 한다.  지체장애라 수치심이 없을 것이라 말하던 책속 변호사의 말은 칼날 같이 내 몸에 꼳혔고 그 말들은 모든 양심이 있는 사람들의 마음에 생채기를 해댔을 것이다. 그 말은 고로 장애를 가진 사람은 인간으로 인정할 수 없는 말이 되는 것인데, 진정 인간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인물들은 책을 읽은 누구든지 알겠듯이 가해자인 그들이다. 양을 쓴 늑대로는 충족스럽지 않다. '탈을 쓴 지옥에서 몇천년 묵은 빌어먹을 악계'가 그들이다. 지금 그들은 무얼하고 지낼까. 한국의 있다고 하는 힘들이 보호해준 악계들은 어디서 무얼하며 그대로유지된 돈과 권력으로 누구를 또 농간하며 식욕하고 있을까..

  광란의 도가니. 나는 내 속에서 꿈틀대는 이 분노가 무얼할 수 있을지 모른다. 왜 내가 세상의 모든 불행한 일을 보면 인간으로써 마음속을 끓이는 분노와 또 다른 한 켠에서는 죄책감이 드는지 모르겠다. 왜 잘 사는 사람들은 착하지 못하고 바르지 못할까. 아니. 왜 착하고 잘 사는 두가지 조건이 충족된 사람들이 많지 않을까.

 이 책은 마지막까지 광란의 도가니가 끝나지 않았다. 아직도 싸움은 계속되고 있으며 또 어디에서는 어느 한부위가 약하게 태어날 수 밖에 없었던 자는 누군가의 손아귀에서 잔인하게 놀아나고 있을지도 모른다. 그들을 위해서 귀와 마음을 열어두지 않는 이상 한국은 그만큼 살아나갈 희망이 없어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