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
공지영 지음 / 오픈하우스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몇일전에 친구에게 책을 선물한 적이 있다. 책의 제목은 '프렌쉽. 친구네 집 가는 길은 먼 법이 없다' 인 사진집과 바로 지금 말하고자 하는 공지영씨의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였다. 근데 재밌는 건 나는 이 책들의 작가도 모르고 제목만 보고 너무 마음에 들어서 두책을 골랐는데 한 책은 베스트셀러이고 한 책은 그냥 일반 책이었다.
내 친구는 책을 잘 보지 않는다. 그래도 가끔은 보는데 그 친구가 이야기하길, 베스트셀러라고 해서 전부 괜찮지는 않더라. 는 것이다. 그렇다. 사실 책을 많이 보는 사람들이야 베스트셀러든 아니든 책을 눈에서 떼지 않고 본다. 하지만 가끔씩 책을 보는 사람들은 베스트셀러를 찾게 마련이다. 다른 책들은 어떤 책이 괜찮은 지 잘 모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내 생각에 베스트셀러들은 일단 작가가 유명하고 또 작가를 지지해주는 힘 있는 사람들이 있어야 하며 그 사람들의 추천사도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베스트셀러가 아니더라도 나는 좋은 책들을 많이 만나봤다. 나는 친구에게 선물을 주기 전에 내가 산 이 두 책들을 미리 읽어보았다. 나중에 같은 생각을 공감할 수 있기를 바랐기 때문이었다. 프렌즈에 있는 사진들은 글보다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해주고 있었고 네가 어떤 삶을 살든 나는 너를 응원할 것이다라는 책은 솔직히 그 책속에 들어있던 또다른 책들과 책의 인물들에 매료되었다. 마치 이 책은 여러 책들의 감상문을 엮은 책인것 같았다. 거기서 약간의 자전적 소설의 요소를 가미해서 자신의 딸에게 쓰는 편지 형식으로 써내려갔다. 그녀가 말한 것 중 인상 깊었던 구절이 몇 부분 있었다.
이를 테면,
'인생이 길이라면, 그건 항상 오르막으로 펼쳐지는 거야.. 그런데 말이야. 그래도 모두가 살아내는 또 하나의 이유는 오르막은 다 올라 보니 오르막일 뿐인거야. 가까이 가면 언제나 그건 그저 걸을만한 평지로 보이거든, 가까이 있다는 이유로 눈이 지어내는 그 속임수가 또 우리를 살게 하는 지도 모르지.'
이 부분에서 나는 많은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의 문안함과 어려움속에서도 순간순간을 견뎌내는 인간의 힘이 얼마나 강한 힘을 발휘하고 있는 것인지를 느낄 수 있다.
그녀는 그녀의 딸에게 말한다.
' 넌 스무해를 살았니? 어쩌면 똑같은 일년을 스무 번 산 것은 아니니'
마치 내 자신에게 말하는 소리같이 가슴이 찌릿하고 전율이 왔다. 내가 몇십년을 아무런 희망도 열정도 의지도 살아온 날들은 그저 그녀가 말한 것처럼 똑같은 일년을 몇십년이나 살아온 것 같았다. 이쯤 됐을 땐 난 그녀의 목소리에 점점 공감과 더불어 감흥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리고 여기에선,
'나이가 들면서 삶은 쏜살같이 지나간다. 그 이유는 반복이 일상화되었기 때문이다... 여행을 떠나면 왜 시간이 길게 느껴지는지 이해가 되었어. 낯선 길을 멀게 느껴지는 것도 말이야. '
예전만 같았어도 몰랐을 삶의 한 부분을 한 살씩 얻어가면서 공감하는 부분이기도 했다.
오스카 와일드의 옥중기와 릴케의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에 대해 나오는 부분도 인상 깊었다. 특히 시대의 반항아 오스카 와일드. 나는 그를 격언집에서 만나본 적이 있다. 짧고 날카롭게 쏘는 독침같은 그의 말의 통찰력에 감격했을 때가 많았다. 그를 이 책에서도 만났다. 그러나 나는 그의 말은 알았어도 그에 대해서는 잘 몰랐으므로 이 책을 통해서 그를 조금 경험하고 흥미가 일어나 그에 대해 알고 싶은 생각이 생겨났다.
이 책에서 그가 한 말 중 한 부분을 발췌해보면,
'미국에서 대통령은 4년간 집권하고 언론은 영원히 통치한다. 민주주의란 단지 인민을 위하여, 인민에 의해서, 인민을 커다란 몽둥이로 두드리는 것을 뜻할 뿐인 것이다....유행이란 하나의 추악함의 형태이며, 대단히 사람을 피곤하게 하므로 석 달에 한 번은 바꿀 필요가 있다. 의무란 사람들이 타인에게 기대하는 것이다. 인생은 모두 다음 두 가지로 성립된다. 하고 싶지만 할 수 없다. 할 수는 있지만 하고 싶지 않다. 인생이란 대단히 중요한 것이다. 진지한 표정으로 거론할 수 있는 그런 하찮은 것이 아니다.'
참 흥미롭고 약간의 장난기가 묻어나면서도 진지하고 바늘로 찌르는 듯이 정확한 일침을 날리는 말이다. 또 한가지 더보면, 이것은 게이사건으로 인해서 감옥으로 이송될때의 느낌을 글로 쓴 것이다.
'1895년 11월 13일, 나는 런던으로부터 이곳에 송치되었다. 그날 나는 그때부터 2시 30분까지 수의를 입고 수갑을 찬 채 뭇 사람들의 구경거리로 클래펌 정션의 플랫폼 한가운데 서 있지 않으면 안 되었다. 나는 이루 말할 수 없이 괴상망측한 모습이었다. 사람들은 나를 보고 연방 웃어 댔다. 기차가 도착할 때 마다 구경꾼이 더욱 늘어났다. 그들의 흥겨워하는 모습이 나에게도 가관이었다. 물론 그들은 그때까지 내가 누구라는 것을 몰랐다. 내가 누구라는 것을 알게 되자, 그들은 한층 더 웃어댔다. 나는 거의 반 시간 동안이나 회색빛 빗줄기 속에서 비웃고 있는 군중들에 둘러싸여 있었다. 이런 일을 당하고 난 후 거의 일 년 동안 나는 매일 비슷한 시각에 그와 비슷한 시간 동안 울며 지내야만 했다. 감옥에서도 울지 않는 날이란 마음이 즐거운 날이 아니라 마음이 완전히 굳어 버린 날인 것이다.'
나는 여기서 그가 아무리 악동이고 시대의 반항아였다 할지라도 인간으로써 보통사람이 느끼는 모든 것을 느낄 수 있었으며 그가 사람들로 인해 받았던 모욕과 수치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었다. 게다가 그를 바라보던 사람들은 독특한 사람들이 아닌 일반 시민들이고 그 시민들은 자신들의 잔인한 시선이 그에게 어떤 충격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신경 쓸 겨를이 없었을 것이다. 거기에서 일반적인 평범함을 가진 대중은 잔인함과도 쉽게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그는 감성적으로 여렸지만 그의 겉모습과 무엇보다 양심을 파고드는 강한 일격의 말로 인해 사람들은 그는 무너지지 않을 강적이라 생각하고 더 많은 것을 퍼부을 지도 모르겠지만 그럼에도 그는 여리고 약한 인간일 뿐이었다.
이 부분에서는 한국에서 요즘따라 자주 발생하는 마녀사냥이라 부르는 무차별적 공격이 생각났다. 이것은 정확한 증거보다는 소문과 얼굴을 서로 보지 않는다는 면에서 인간적인 교류 전혀 없이 공격하는 것이었다. 게다가 이 공격은 그 사람에게 주는 상처에 대한 뒷감당이 전혀 없다. 이 잔인함은 일부 평범한 대중 사이에서 일어난다. 사실 죄를 짓지 않은 사람에게 가해지는 폭력이 더 잔인하기도 하다. 오히려 사람들은 잔인한 폭력과 사건에 대해서는 담담하다.
폭력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이런 행동을 죄를 짓지 않은 사람에게도 행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들 나름대로의 논리인 그냥 보기 싫다는 이유에서일 수도 있고 각자 이유는 있겠지만 그래도 거기에는 합당한 이유라 할 만 것은 없다. 그러니 오히려 화가 미쳐야 할 곳보다는 되려 엉뚱한 곳으로 분출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까서 와서 보니 너무 여기에 심취해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진 것 같다. 아무튼 다시 책으로 돌아와서, 작가가 인상 깊게 본 글들 중 안소니 드멜로 신부의 글들도 괜찮은 글들도 많았다.
내가 준 책을 선물로 받은 친구는 잘 읽었다고 한다. 그리고 사진집도 정말 잘 보았다고 한다. 글과 사진으로 인해서 마음 속의 감성이 충분히 가득찼다고. 그래서 나도 뿌듯했다. 가끔 별로 책을 즐기지 않는 사람에게 책을 선물할 때는 약간 고민이 되기도 하지만 역시 책은 그 어떤 선물보다도 더 많은 것을 줄 수 있다고 나는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