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사학과 한국고대사
이희진 지음 / 소나무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생각했던 예상에 의외로 술술 잘 읽혀나던

 

이 책은 여태까지 대부분의 한국인들이 물들어

 

있던 역사가치관에 시원한 물줄기를 틀어주는

 

새로운 책이었습니다. 저는 사실 역사에 대해

 

그렇게 잘 알고 있지는 못하는 많은 사람이

 

아는 정도의 역사를 아는 정도일 뿐이었습니

 

다. 근데 그속에서조차 제가 알던 역사관이

 

정말로 불공정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인식

 

하게 되더군요. 그러면서 아예 역사에 대해

 

빠삭하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여겨졌습니다.

 

(어차피 잘못된 역사라면 제대로 된 역사를

 

배우기에 더 쉬운 가치관이 세워져 있을 테니

 

까요) 이 책은 특히 고대사에 대해 우리의 가

 

치관에 젖어있던 식민사학을 철저하게 비판하

 

고 꼬집어내고 있습니다. 그것도 일본인도 아

 

닌 우리 나라 학계의 대부분이 식민사회부터

 

해왔기 때문에 그 사학에 대해 비판할 여지도

 

없이 고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데 충격을 받았

 

고 그 이유가 자신들이 배워왔던 역사가 식민

 

사학으로 물든 잘못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것

 

을 뒤집기에는 너무 막대한 자기희생이 필요하

 

다고 생각하는데 치가 떨리더군요. 그 자기희

 

생이란 바로 자신이 그래도 그 분야에선 내노

 

라 하는 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모두 틀

 

린 내용이므로 모든걸 뒤집어 엎을 그 알량한

 

자존심에 해가 되는 일을 하지 않을 것과 그

 

부분의 대부분의 권력자들은 전부 그 사학에

 

젖어있으니 나 하나만이 바꿀게 아니라 그들도

 

모두 바꾸어야 하는 데 그러자면 대혁신이 필

 

요하고 그들에게는 그대로 살아도 별 거리낌없

 

이 권력과 자본의 힘으로 잘 살수 있는데  대

 

혁신으로 인해 모든 것이 바뀔 수 있는 게 그

 

들의 걱정꺼리가 되어 다 공공연히 아는 사실

 

임에도 어쩔 수 없다는 게 그들의 역사관이자

 

가치관이라니 그들의 논리에 한숨도 나옵니다.

 

더구나 일본이 역사를 왜곡했다는 데에 일본

 

역사서에서 그 증거를 찾는 한국인들도 정말

 

어이가 없더군요. 그 한국인들이 한국에서 내

 

노라하는 방송까지 탔으며 그의 책이 베스트셀

 

러가 되어 팔려나갔다는 데에 황당하고 할 말

 

을 잃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학계에선

 

유명하고 알려진 대학의 논문은 근본이 어떻던

 

간에 인정해주고 복돋아주는 반면 그보다 덜

 

알려진 대학에서 똑같은 논문을 냈다면 읽어보

 

지도 않을 것이 우리나라 현실의 학계라는 것

 

에 이 무슨 저질의 학계인가 하는 분노가 치

 

밀었습니다. 저도 이 책을 지은 지은이 못지

 

않게 분개를 하면서 그들을 바라보게 되었죠.

 

비전문가에게는 역사학이란 아무래도 어렵고

 

아 다르고 어 다르게 들릴수 있는게 이 학문

 

인데 전문가까지 제대로 된 역사학이 아니라

 

잘못되도 한참 잘못된 역사를 다음 세대와 아

 

울러 비전문가들에게 전파하고 있다는 것에 정

 

보의 권력에 대해 또 한번 실감합니다. 권력

 

이 부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우리

 

에게 심고 싶어하는 정보를 심으므로써 그들의

 

이익을 도울 수 있게 하는데에 우리가 그저

 

그 잘못된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피

 

해를 입는 것입니다. 그리고 고스란히 그 피

 

해는 다음 세대, 그 다음 세대로까지 이어지

 

면서 걷잡을 수 없을 것입니다. 다행히 이 책

 

의 지은이처럼 잘못됨을 위해 부르짖는 사람이

 

있으므로 아직 우리나라의 가능성에 대해 희망

 

을 걸어보게 됩니다. 그럼에도 올바른 것이

 

권력을 가지지 못한 현실에 대해 비참함이 느

 

껴지기도 합니다. 어쩌면 자신이 알고 있었던

 

사실이 진실이 아니라면 많은 혼란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역사는 진실이 아닙니다. 역사

 

는 해설하는 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시대

 

의 가치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 것이 역사

 

입니다. 그런데 없던 사실을 만들어내고 있던

 

사실을 없애는 것은 역사가 아닙니다. 일본의

 

역사왜곡자는 이런 일들을 잔행해 왔고 한국인

 

들은 이런 가치관을 받아들여왔었습니다. 우리

 

나라 학계에서 앞으로 해야할 일은 권력의 한

 

쪽의 정보만이 아니라 다양한 정보들을 외치는

 

학자들에게 그들의 소리권을 주고 그 소리권을

 

국민들에게도 들을 수 있는 여권을 만들어 주

 

는 것입니다. 좀더 여유로운 시각과 가치관을

 

행함이 앞으로의 영광스러운 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