뮈세의 베네치아 작가가 사랑한 도시 6
알프레드 드 뮈세 지음, 이찬규.이주현 옮김 / 그린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네치아를 미로처럼 엮고 있는 수로와 수로를 따라 움직이는 곤돌라를 보면서 비밀스러운 사랑 이야기가 숨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연상인 애인 조르주 상드와 베네치아로 숨어들었던 알프레드 뮈세 역시 저와 같은 생각을 했던 모양입니다. 그들의 사랑에서 영감을 얻어 쓴 소설이 바로 <뮈세의 베네치아>라고 합니다.


이야기는 1580년 2월에 시작되며, 주인공은 당대 이탈리아미술의 대표화가 가운데 하나인 티치아노의 둘째 아들 피포입니다.(티치아노에게는 실제로 오라조라는 아들이 있었지만, 아버지와 몇 주 간격을 두고 전염병에 감염되어 죽었다고 합니다), 피포는 아버지로부터 막대한 유산과 화가로서의 재능을 함께 물려받았습니다. 하지만 재능을 살려 그림을 그리지는 않고 도박과 춤으로 젊음을 낭비합니다. 어느 날 그에게 정성들여 수놓인 주머니 하나가 은밀하게 전해지고, 도박에서 연전연승하는 행운이 시작됩니다.


하지만 호사에 다마라고 했던가요? 무도회장에서 만나 불장난 같은 관계를 가졌던 모나 비앙키나가 끼어들면서 상황이 꼬이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포는 선물을 보낸 미지의 여인을 찾으려 노력하고 드디어 두 사람의 만남이 성사됩니다. 미지의 여인은 언젠가 무도장에서 스치듯 만난 베네치아 최고위층의 미망인 베아트리체였습니다. 고결한 귀족 여인과 방탕한 예술가의 금지된 사랑은 시작되고, 베아트리체는 사랑뿐 아니라 피포의 재능까지 피워내려고 합니다.


베아트리체는 도박에 빠진 피포로 하여금 그림 그리기에 전념할 수 있도록 이끌어갑니다. 피포는 그녀의 제안을 받아들여 그녀를 모델로 하여 그림을 그리기 시작합니다. 6주의 시간이 지났고, 피포는 초상화을 완성하였지만, 마지막 순간에 입과 눈을 지워버립니다. 초상화가 미완으로 남게 된 것입니다. 입과 눈을 지워버린 이유를 피포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눈길과 미소는 표현하기 어려운 두 가지 것입니다. 그것들을 그리려면 영감이 필요합니다. 저는 제 손에 아직 확신이 없어요. 그리고 언제 그것을 갖게 될는지 알지도 못합니다.(74쪽)”


아무리 천재라고 하더라도 전정 아름다운 작품은 오랜 시간과 몰입의 결과라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고 이 그림을 완성하기 위하여 이 두 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새로운 깨달음은 오래가지 않았습니다. 자신의 이름을 훔쳐 명예를 얻은 티치아넬로와 조우한 피포는 한바탕의 드잡이질 끝에 집으로 돌아와 불과 한 시간 만에 그림을 완성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 이 작품의 이름을 ‘왕관을 쓴 비너스’가 아닌 ‘사랑에 빠진 비너스’라고 정합니다.


베아트리체가 많은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피포가 그린 그림은 그것이 마지막이었다고 합니다. 어떻든 두 사람은 오랫동안 부부처럼 살았고, 그로 인해서 상처를 받은 로레단 가문에서 이 그림을 없애버렸기 때문에 전해지지 않는다고 뮈세는 전합니다.


뮈세가 묘사하는 베네치아는 정말 환상적입니다. <에스파냐와 이탈리아 이야기(1830)>에 실린 ‘베네치아’라는 시의 한 구절입니다. “오래된 궁전들 / 우람스런 회랑들 / 가시들의 하얀 계단들 / 그리고 다리와 길들 / 음울한 동상들 / 바람으로 / 물결치는 만” 두칼레 궁전을 중심으로 하는 베네치아의 풍경을 고스란히 떠올릴 수 있는 묘사가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런 베네치아의 풍경 속에 숨어 있는 연인들의 사랑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아! 여기 한 여인이 / 달빛 아래서 / 귀를 쫑긋 한 채/ 젊은 미남 애인을 기다리네 / 준비된 무도회를 위해 치장을 마친 한 여인은 / 거울 앞에서 / 검은 가면을 쓰네” 이 부분은 뮈세와 조르주 상드 사이의 사랑이야기를 담은 것으로 이해해도 될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