몹쓸 기억력 - 자기 자신마저 속이는 기억의 착각
줄리아 쇼 지음, 이영아 옮김 / 현암사 / 2017년 5월
평점 :
절판


나이가 들어가면서 생기는 고민은 예전에는 제대로 기억하던 것들이 흐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물론 기억하고 있는 것들은 제가 직접 겪은 것도 있고 들어서 알게 된 것도 있지만, 둘 사이의 구분은 분명하게 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의 기억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 적은 한 번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몰라서 모르는 것이지, 알고 있는 것을 잘 못 알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살아온 것입니다.


‘기억’은 제가 쥐고 있는 여러 개의 화두 가운데 가장 비중이 큰 것입니다. 그동안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기억을 잘하는 방법, 기억이 어떻게 소멸되는지 등에 대한 공부를 꾸준하게 해왔습니다. 물론 기억의 왜곡에 관한 공부도 빠질 수 없었습니다. <몹쓸 기억력>에서는 기억의 오류를 다루고 있습니다. 기억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좋은 참고서가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저자는 들어가는 글에서 기억에 관한 몇 가지 중요한 점들을 설명합니다. 기억이란 개인의 정체성의 밑바탕이 되는 것이라는 점은 꼭 기억해둘 만합니다. 기억연구의 핵심이 되는 의미기억과 일화기억에 대한 설명도 중요합니다. 의미기억은 의미와 개념과 사실에 대한 기억으로, 역사적 사건의 날짜, 관련 인물의 이름 등의 정보를 말하는데 사람에 따라서 잘 기억하는 분야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일화기억은 일종의 자전적 기억입니다. 개인의 과거 경험을 모아두는 일기와 같은 것입니다.


그런데 자신이 직접 경험하여 사실로 믿고 있는 과거의 경험조차도 찰흙으로 반죽을 빚는 것처럼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기억의 과학적 원리를 주도면밀하게 응용하면 가능합니다. 그래서 저자는 기억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우리가 무언가를 망각하거나 기억하는 생물학적 원인들을 파고드는 동시에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기억하는 방식에 사회적 환경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이 책에서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기억이 할 수 있는 일에 관한 우리의 이해나 오해에 대중매체와 교육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설명하였으며, 기억이 얼마나 오류를 일으키고 변질되고 잘못 해석될 있는가 하는 것을 믿기 어려운 사례를 인용하여 설명하였습니다.


최근에 전생을 기억하는 사람들이 등장하는 드라마가 봇물을 이루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전생을 믿지 않기 때문에 그저 흥미로운 드라마라는 관점에서 즐겨보았습니다. 저의 기억 가운데는 네 살 때의 것이 가장 오래된 것 같습니다. 막내 동생이 태어나던 날의 기억인데, 물론 전체가 다 기억나는 것은 아니고 집안이 술렁거렸던 분위기 정도가 기억에 남습니다. 그때 살던 집은 초등학교의 관사였는데, 집 안팎의 분위기 정도가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그런데 태어난 순간을 기억한다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는 저자의 말에 깜짝 놀랐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아마도 부모님이나 친척들이 하는 이야기를 듣고 기억을 만들어냈을 것입니다.


저는 아직 기억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를 정확하게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와 연결되는 시냅스라고 하는 독특한 구조물에서 일어나는 생화학반응이 일차적으로 기억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시냅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신경세포들의 네트워크가 기억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손에 딱 잡히는 개념은 아닌 것 같습니다. 언제쯤이면 기억의 만들어지는 과정을 똑 떨어지게 설명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저자는 우리의 기억이 불완전하다는 사실을 다양한 사례들을 인용하여 설명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억이 이토록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그 기억에 의존하여 살아가야 하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도 설명합니다. 그것은 ‘메타 기억’이라고 하는 것으로 ‘우리의 기억과 그 기능에 대한 지식’을 말합니다. 저자는 허구일 수도 있는 과거의 기억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하면 제대로 사는 길이라고 마무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