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인데 왜 내 마음대로 안 되는 걸까?
김형근 지음 / 한빛비즈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세상이 복잡해진 탓인지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리지 못해서 벌어지는 사건사고가 넘쳐나고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 가운데는 나도 내 마음을 모르겠다고 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다시 말하면 스스로는 통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내 마음인데 왜 내 마음대로 안 되는 걸까?>는 ‘왜 사람들은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할까?’하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저자는 마약중독자들을 위한 회복모임에 참여하면서 쌓인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중독심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결국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하는 것도 일종의 중독현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 역시 담배, 술 그리고 일 등 일종의 중독에 가까운 습관들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담배의 경우는 완전히 끊었습니다만, 술은 조금씩 마시기도 합니다. 물론 예전처럼 통제할 수 없는 정도는 아닙니다.

 

저자는 기독교심리상담연구소를 열고 정신적인 고통을 가지고 오는 분들을 상담하고 있다고 합니다. 오랜 상담을 통하여 경험한 사례들을 분류하여, 통제할 수 없는 행동, 마음, 사랑, 일과 꿈, 그리고 나를 가로막는 걱정들, 해결되지 못한 슬픔, 그리고 한없이 커 보이는 결점 등, 심리적 문제들이 왜 생기는지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일종의 마음의 걱정거리가 왜 생겼는지 근원을 밝혀가는 것인데, 저자가 사용하는 기본적인 기제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이론이 중심이 되는 것 같습니다. 즉 성장과정에서 만난 정신적 충격이 성격형성에 영향을 미쳐, 장성한 다음에 성격이나 행동을 지배한다는 이론입니다.

 

그 가운데는 공감이 되는 설명도 많지만 때로는 그럴까 싶기도 한 설명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저도 그랬습니다만, 통제하지 못할 정도로 술을 마시는 사람은 대체적으로 술 마시는 분위기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분위기에 휩쓸리다 보면 적당하게 제동을 걸어야 하는데 계속 상승되다가 순간 정신을 놓게 된다는 것입니다. 내면에 도사리고 있는 미움이라는 감정 때문에 타인과의 접촉을 거절하며, 그 정도가 심하면 대인공포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는 설명을 좀체 이해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 뿐만 아니라 성폭행의 피해자에게 사건이 자신의 잘못 때문에 일어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 대목은 틀림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성폭행의 가해자를 용서하라는 이야기까지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생각을 합니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요?

 

성장기에 받는 정신적인 압박감이 이상행동 혹은 정서상태의 원인이라는 저자의 분석은 커다란 틀에서 틀린 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런 문제를 안고 있는 사람들은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이 책이 안고 있는 문제라고 보았습니다. 생각해보니 1996년에 제가 치매에 관한 책을 처음 내놓았을 무렵에는 초보적인 진단방법은 있었지만, 완치시킬 수 있는 치료법은 없었습니다. 그때 주변에서 들었던 이야기가 바로 ‘치료하는 방법은 있나요?’하는 것이었습니다. 저자가 상담을 하는 과정에서 제시하는 해결방안이 조금 구체적으로 정리되었어야 했다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어린 자녀를 어떻게 대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답이 잘 정리되어 있다는 생각입니다. E그래서 어린 자녀를 둔 부모에게는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책을 읽다가 생각이 정리되지 않는 대목이 있어서 리뷰에 적어둡니다. 바로 창세기의 한 부분입니다. “성경에 따르면, 아담이 하와가 준 선악과를 따먹고 눈이 밝아지자 자신의 벗은 몸이 부끄러워 무화과나무 잎으로 몸을 가렸다고 한다.(72쪽)”는 구절입니다. 눈이 밝아지면 인간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찬탄을 하는 것이 옳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선악과를 먹기 전까지는 아담과 하와는 눈이 어두웠던 것일까요? 하느님은 왜 아담과 하와에서 선악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지 않고 선악과라고 하는 열매에 따로 감추어 두셨을까요? 의문이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