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과 기억 - 육체와 정신의 관계에 대한 고찰 세창클래식 18
앙리 베르그송 지음, 이명곤 옮김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랑스의 과학철학자 앙리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은 아마도 기억에 관한 책에서 인용된 것을 읽고서 읽어볼 책 목록에 올려두었던 것 같습니다. 최근에 도서관에 갔다가 신간서적으로 들어와 있는 것을 보고 읽게 되었습니다. 책을 읽은 느낌을 먼저 말씀드리면 정말 어려워서 무언가 기억할만한 대목이 남지 않았습니다.


육체와 정신과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라는 부제가 달린 <물질과 기억>은 시간과 공간, 지속과 연장, 질과 양, 그리고 의식과 물질 등의 구별은 2원론적 단절까지 다루었던 박사논문에 이어 저자가 천착했던 주제였다고 합니다.


정신과 물질을 전혀 별개의 2원론적으로 나누어 놓을 경우, 일정한 연결이 분명한 심신관계에 대한 설명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책으로 완성하기까지 7년이 걸렸다고 합니다. 베르그송은 2원론적 해석을 완성하기 위하여 '형상(形象)'의 이론 및 행동주의적 지각론과 지속의 관점에서 의식을 '기억'에 관한 이론을 도입하였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물질이라고 표현한 사물을 정신활동인 기억과 연관을 지으려고 한 출발이 적절했는가 하는 생각입니다. 이 책이 쓰인 20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뇌과학은 태동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과학적 성과가 있었을까 싶습니다. 따라서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추론하였다기보다는 철학적 해석을 통하여 사물과 기억의 관계, 즉 심신관계를 설명하려고 들었다는 한계가 있지 싶습니다.


서두에 옮긴이가 적은 글을 보면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물질이 인간의 육체를 상징하는 용어라면 기억은 인간의 정신을 상징하는 용어ㄴ라고 할 수 있다.(7)”라고 설명합니다. 그리하여 심리학과 과학에서 범하고 있는 오류를 밝히고, 인간의 기억과 의식 나아가 정신활동에 대해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다는 것입니다. 과학은 끊임없이 발전하는 학문입니다. 한때는 옳다고 믿었던 사실이 뒤에 확인된 자료에 의하여 옳지 않다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한 것입니다.


이 책의 두 가지 주제가운데 하나인 기억만 해도 여전히 어떻게 만들어져 저장되고, 필요할 때 끄집어낼 수 있는지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은 분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그송은 뇌란 단지 기억이 실재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하나의 조건에 지나지 않으며, 기억이 존재하고 작동하기 위해서는 뇌 이상의 다른 것이 요구되는데, 그것은 바로 정신 혹은 영혼이라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최근까지 밝혀진 기억을 만들고 불러오는데 생화학적 작용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정신 혹은 영혼이라고 하는 증명할 수 없는 무형의 것이 기억을 결정한다는 추론은 과학적이지 못한 셈입니다.


물질이라는 주제 역시 (image)’이라고 하는 개념으로 설명하는데, 상은 시각정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인바, 오감을 통하여 얻어지는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되는 물질의 속성을 시각정보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옳을까 싶습니다.


기억이 사실에 근거하는 것만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형성된 기억이 회상과정을 통하여 수정되어 새롭게 저장된다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개인의 사고를 통하여 사실과 다르게 저장되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물질과 기억을 주제로 하여 육체와 정신과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했던 저자의 시도는 여전히 밝혀져야 할 것들이 많은 현시점에서도 어려운 주제라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