굶주림 - 개정판
크누트 함순 지음, 우종길 옮김 / 창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크누스 함순의 <땅의 혜택>에 이어 읽은 그의 초기 작품 <굶주림>을 읽었습니다. 그러니까 그가 미국에 다녀온 다음 발표한 작품입니다. 역시 자전적 소설이라고 하는데 그가 직접 체험한 극심한 가난과 굶주림의 상황, 그리고 심리 상태를 그려냈다고 합니다. 옮긴이는 <굶주림>에는 전혀 새로운 인간형이 등장한다고 했습니다. “19세기의 기술과 과학 발달의 희생자로서 태어난, 신경질적이고 지적이며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가 기술과 과학 발달의 희생자라는 점은 크게 부각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또한 끼니를 거르기를 밥 먹듯 하면서도 자신보다 힘들어 보이는 사람에게는 가진 것을 전당포에 맡겨 돈을 만들어 도와주기도 합니다. 어떻든 주인공은 글을 써서 신문사에 팔아 근근이 버티고 있습니다.


논어 술이편에는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을 베고 누웠으니 / 즐거움이 그 안에 있고 / 의롭지 않게 부귀를 누림은 / 나에게는 뜬 구름과 같다.(飯蔬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이라는 대목이 있습니다. 굶주려도 의를 버릴 수 없다는 것인데, <굶주림>의 주인공은 굶주림에 굴복하여 의롭지 않은 일도 저지르기도 합니다. 거짓을 말하고 금전을 훎기고 합니다. 어쩌면 극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금기라 할 일까지도 서슴치 않고 저지른 것입니다. 그래서 앙드레 지드는 서문에서 계속되는 굶주림으로 인하여 일어나는 온갖 도덕적인 변모와 지적인 동요를 다루었다고 했나봅니다.


구직과정에서 수없이 퇴짜를 맞은 것을 보면 글쓰는 일 말고는 특별한 재능이 없었던가 봅니다. 아니면 거친 일은 할 생각이 없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찾아낸다는 것이 내게 얼마나 절실한 일인지 아무도 모를 것이라고 했습니다. 심지어는 내가 자리를 찾아낼 때마다 하느님이 간섭하고 모든 것을 망치니, 이건 절대적으로 불공평하다고 했습니다.


월세를 낼 수가 없어서 노숙을 밥먹듯하고 심지어는 경찰서의 유치장을 제발로 찾아들기도 하는데, 숙식을 해결하기 위하여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도 납니다. 어떻든 굶주림에 시달렸다는 이야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반전도 없이 읽어야 하는 것도 부담스러웠습니다. 아마도 무언가 화자가 굶주림을 해결할 무슨 일이라도 생기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가지고 읽어갔던 것 같습니다.


이야기의 무대가 되는 곳이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이며 시대적 배경은 저자가 미국에 다녀온 19세기 말임을 생각해보면 사회보장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던 시절이었던가 봅니다. 화자는 결국 허드렛일을 할 선원으로 배를 타고 도시를 떠나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었습니다. 뉴펀들랜드 뱅크로 대구를 잡으러 떠났다는 것입니다. 그때의 경험은 <아이슬랜드의 어부들>에 담았다고 합니다.


소개의 글을 쓴 옥타르 미르는 이 작품이 대단하다고 했던 이유가 쉽게 와닿지 않았습니다. 사회에 대한 반항이나 열렬한 훈계라든지 격렬한 비판이나 요구가 없었다는 것, 몇날 며칠이고 굶고 지내면서도 불평도 증오감도 없다는 것이 특별하다는 것이었을까요?


미국에서 노르웨이로 돌아와서는 얼마 후에 파리로 피신해서는 가난하고 고독한 가운데 열심히 글을 써갔다고 합니다. 합리적인 프랑스 문학 경향과는 다른 그런 글은 결국 프랑스 문단의 주목을 받게 되었던 것 같습니다.


화자를 비롯하여 <굶주림>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을 대체로 순박하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물론 셋집 주인처럼 빡빡한 사람들도 있기는 합니다. 이런 상황에 처하기라도 하면 어떻게 활로를 찾아볼 것인가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