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밤에 우리 영혼은
켄트 하루프 지음, 김재성 옮김 / 뮤진트리 / 2016년 10월
평점 :
얼마 전에는 친구들과 만나 저녁을 먹는 자리에서 요리강습을 받으러 다녀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혼자서도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죠. 나이가 들어 자식들은 독립해 떠났는데 배우자와 사별하고 혼자가 된다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해볼 수 있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나이가 들면 재혼도 쉽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밤에 우리 영혼은>은 배우자와 사별하고 각각 혼자 살아오던 70이 넘은 남녀가 어느 날부터 저녁 시간을 함께 보내는 실험을 해본다는 이야기입니다. 그것도 여성이 먼저 제안하고 남성이 이를 받아들이는데, 두 사람의 이런 행동은 금세 마을 사람들의 입초시에 오르게 됩니다. 그래도 두 사람, 특히 여성인 에디 무어는 초연합니다. 이 나이에 남이 뭐라든 내가 좋으면 좋은 것이란 생각입니다.
애디가 루이스에게 같은 침대에서 밤을 보내자는 제안을 하게 된 이유는 낮에는 일상적인 일을 하기때문에 문제없이 지내지만 밤이 되면 심해지는 외로움을 견디기 힘들다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누군가의 따듯하 손길이 잠드는데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성관계까지는 고려대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결혼 비슷하지만 결혼은 아니고 가끔 밤에 루이스가 애디의 집으로 와서 같은 침대에서 잠을 자게 되었습니다. 시골의 작은 마을이라서 소문은 금세 났고 마을 사람들의 화제에 올랐지만, 두 사람이 낮에도 식당에 함께 가서 식사를 하는 등 두 사람이 관계를 맺고 있음을 공공연히 밝히고 나서는 사람들의 관심은 빠르게 식었습니다.
두 사람은 저녁에 만나서 지금까지의 삶을 공유합니다. 성장할 때의 이야기는 물론 결혼하게 되는 과정, 결혼생활 등. 두 사람은 모두 상대의 과거를 이해하는 쪽입니다. 심지어 루이스의 바람까지도. 결국 루이스는 "우리 둘 다 인생이 제대로, 뜻대로 살아지지 않은거네요.(109쪽)"라고 말합니다.
문제는 자식들입니다. 루이스의 딸은 잠시 걱정하다 말았지만 애디의 아들 진은 다른 반응입니다. 아내와 갈등을 빚어 아들 제이미를 애디에게 맡기게 됩니다. 소극적이던 제이미는 애디의 집에 와서 야구도 하는 등 활발해졌습니다. 애디와 루이스의 관계는 제이미에게 문제가 되지않습니다.
진은 어렸을 적에 집에서 누이와 놀다가 짓궂게 쫓는 바람에 도로로 달아나던 누이가 차에 치어 숨지면서 스스로를 책망하고, 아버지가 누이의 죽음이 진의 책임인 것처럼 냉담했다고 기억합니다. 그런 배경 탓인지 진을 매사에 열린 마음은 아닌 듯합니다. 아내가 친정으로 가버리는 바람에 제이미를 애디에게 맡겼던 것인데 아내와의 갈등이 풀어지면서 제이미를 데려갑니다.
제이미가 떠난 뒤에 두 사람은 마을 사람들이 짐작했을 터이나 사실 두 사람은 하지않았던 일, 성적으로 결합하는 일도 시도해봅니다. 서로를 안고, 애무해보지만 결합에 이르지 못합니다. 루이스가 발기를 유지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루이스는 애디가 실망했을까 걱정사지만 에디는 걱정하지말라고, 다음에 다시 해보자고 합니다.
진은 애디와 루이스의 관계를 끝까지 이해하지 못합니다. 결국 두사람이 만나지 말라고 강요를 하게됩니다. 애디도 아들의 강요를 수용하게 됩니다.
이야기는 콜로라도에 있는 홀트라는 가상의 마을에서 진행됩니다. 그런 까닭에 주민들 성향이 보수적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루이스는 젊어서 아내가 살아있을 때 바람을 피웠던 적도 있어서 딱히 보수적이라 하기에도 조금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