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더 비전 2030 - AI부터 생명공학까지, 오픈AI가 설계하는 미래
이재훈 지음 / 한빛비즈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로 여행기를 쓰고 있는 저는 누리망을 통하여 자료를 검색하고, 검색한 내용들을 적당한 수준으로 요약하고 있습니다. 당연히 그렇게 정리하는 가운에 저의 생각도 섞여들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가까운 친구들은 최근에 챗GPT를 사용해서 필요한 정보를 얻는다고 합니다. 굳이 누리망을 뒤져 글을 써낼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아직도 챗GPT를 사용하여 글을 써낼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글쓰기도 나름대로의 색깔이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챗GPT는 물론 AI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은 있습니다. <샘 올트먼, 더 비전 2030>도 그런 맥락에서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기술과 사람을 잇는 IT 커뮤니케이터이자 테크 칼럼니스트라고 소개되는 이재훈이 쓴 책입니다. “AI 스타트업에서 사업 개발, 국내 금융사에서 DT·AX 전략 업무를 수행하며 기술과 비즈니스가 만나는 최전선에서 변화의 흐름을 직접 마주해왔다.”라고 소개되었습니다.


사실 정보산업 분야에서는 외래어와 약어들이 넘쳐나고 있어서 여기 소개된 글의 내용이 무엇을 말하는지 전혀 알 수 없습니다. 제가 연식이 조금 된 탓에 숨이 찰 정도로 빠르게 변해가는 이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앎이 없는 탓입니다. 제가 쓰는 글에서는 최대한 외래어를 우리말로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만, 한편으로는 그와 같은 노력은 오히려 독자들로 하여금 제 글을 이해하기 힘들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걱정을 하기도 합니다.


각설하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하여 챗GPT를 개발한 오픈 AI의 대표 샘 올트먼의 행적과 철학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정리해냈습니다. 샘 올트먼은 AI의 성공을 기반으로 핵융합, 생명과학에 이르기까지 인류 문명의 구조 자체를 다시 설계하는 데 집중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한 사업의 다각화 전략이 아니라 기술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지를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하나의 철학적 기획이라는 것입니다.


인류가 지구상에 등장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삶이 발전해온 것은 대단한 천재 한 사람의 힘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특히 인간의 삶을 논하는 학문인 철학 역시 한 사람의 위대한 철학자가 만들어낸 것이 아닙니다. 이렇듯 모든 영역에서의 인류의 발전은 한 걸음 한 걸음씩 이루어져 왔던 것입니다. 뛰어난 인간이 등장하여 놀라운 것을 만들어내도, 또 다른 놀라운 사람이 등장하여 그것을 폐기하거나 수정하여 다른 방향으로 발전을 이끌어 내기도 해온 것입니다.


샘 올트먼이 개발한 AI 기술은 인간이 해오던 일을 대체할 인조인간을 개발해내기에 이르렀습니다. 기계로 하여금 인간의 일을 대신하게 만든 것은 그 일을 하는 인간을 다루는 일이 점점 어려워져왔던 것도 이유의 하나였을 것입니다. 샘 올트먼은 기계의 도입으로 인하여 개발자는 엄청난 부를 쌓는 반면, 기계로 인하여 일터에서 쫓겨난 사람들에게는 기본소득을 나누어주어 소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주장을 내세웠다고 합니다.

새로 들어선 정부가 야당 시절부터 주장하던 것인데 과연 기획한 사람의 뜻대로 세상이 흘러갈까요? 기본소득이라는 제도는 공산주의 철학과 맥을 같이 한다는 느낌입니다. 이미 실패한 철학을 다시 끌어온 이유는 무엇일까요?


샘 올트먼이 내세운 미래는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그런 미래가 과연 모든 인간이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일까요? 모든 인간이 꼭같은 삶을 즐기는 사회가 과연 정답일까요? 누구나 자신이 철학에 따라 독창적인 삶을 살아갈 권리가 있다 할 것입니다. 누군가 정해놓은 길을 따라 살아가는 일이 행복한 일인지는 의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