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옛길 느리게 걷기 - 건축가 엄마와 함께
최경숙 지음 / 라의눈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에 읽은 <도쿄 산책자>에서는 재일교포인 강상중교수가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도쿄 거리의 옛 모습을 되살려보고, 또 미래의 모습을 추론해보는 것을 보았습니다. 도쿄는 그렇다고 쳐도 서울은 조선왕조에서부터 한 나라의 수도였기 때문에 건물 마다 사연이 넘쳐날 것 같습니다.


<건축가 엄마와 함께 서울 옛길 느리게 걷기>는 서울의 옛길에 숨어 있는 이야기들을 되짚어보았습니다. 건축학을 전공하는 엄마의 서울 도심탐험에는 저자의 두 따님이 함께 하면서 이야깃거리도 만들고 엄마의 도심산책에 활기를 넣어주고 있습니다. 사실 저자는 아직 어린 따님들에게 서울의 역사와 건축 이야기를 들려주고 싶었던 것인데, 따님들의 관심을 끌기에는 아직 역부족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렇게 책으로 남겨놓았으니 언젠가는 읽어볼 날이 오겠지요.


저자는 서울의 옛도심, 그러니까 4대문 안의 옛길을 걸으면서 남아있는 건물, 혹은 건물은 사라지고 터만 남은 건물에 관련된 이야기들을 살펴보았습니다. 부암동에서 시작하여, 낙산성곽길, 서촌, 성북동, 북촌, 정동과 덕수궁, 한양 그리고 경성과 서울 등으로 나누어 볼거리를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방식을 취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역사도시 서울은 걸어야 잘 보인다. 걸으면서 숨어 있는 역사의 켜들을 줌인해 들여다보고 그 공간을 애써 찾고 지켜온 사람들의 수고에 공감하다보면, 서울이 깊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13)” 역사적 장소에 얽히 이야기는 물론 풍부한 사진, 그리고 해당지역에 관한 조선화, 등 다양한 시청각자료를 곁들여 놓았습니다.


필자 역시 19여 년 전에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걷기여행>이라는 책자를 통하여 서울 도심은 물론 서울 근교에 있는 걷기 좋은 곳을 따라 걸은 적이 있습니다. 그때 <건축가 엄마와 함께 서울 옛길 느리게 걷기>에 나오는 역사적 장소 역시 돌아본 기억이 있습니다. 그때는 도심을 걷는데 방점이 찍히는 걷기였다고 한다면, <건축가 엄마와 함께 서울 옛길 느리게 걷기>에서는 걷기보다는 역사의 한 장면에 담긴 현장을 직접 답사해보는데 방점이 찍히는 것으로 이해되었습니다.


사실 서울처럼 빠르게 변모해온 도시도 없을 것 같습니다. 식민지배 기간 중에 일제는 우리민족의 정체성을 무너뜨리기 위하여 역사적 장소들을 훼손하는데 앞장섰던 것이며, 해방 후에도 낙후된 도심을 재개발한다는 허울을 덮어씌우고 우리민족 스스로의 손으로 역사적 장소들을 지워버렸던 것입니다.


누리망 지도를 통하여 제가 서울에 올라와 살았던 장소들을 살펴보면 적지 않은 곳이 옛 모습은 온 데 간 데 없이 사라져버린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만큼 서울이 역동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역사적 유물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어서 우리 국민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닥칠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저자의 답사길을 녹록치가 않았던가 봅니다. 그 이유를 이렇게 적었습니다. “서울 옛길에 켜켜이 숨겨진 이야기와 맞딱드리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도 쳔치도 않았다. 어느 곳 하나 일제강점기의 흔적이 없는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무심결에 지나던 거리와 궁궐, 건물 곳곳에 그 흔적들이 흔뿌려져 있었다. 그 일상을 당연하게 살았던 나를 되돌아보면서 때로 울컥하고 때로 안타까워하고 때로 위로 받기도 했다.(5-6)”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알 수 없었던 역사적 사실들을 많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만큼 좋은 책읽기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주말이 기다려지는 행복한 걷기여행>의 개정판이 나왔다고 합니다. 새로 나온 책을 사서 서울 도심을 걸어볼까 생각 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