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책 - 우리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물건의 역사
키스 휴스턴 지음, 이은진 옮김 / 김영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시대의 가장 영향력이 있는 물건의 역사’라는 부제처럼 책이 우리 시대의 가장 영향력이 있는 물건인지는 한번 따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물론 과거에는 분명 세상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물건이던 시절이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금서의 역사를 비롯하여 책에 관한 다양한 역사를 살펴본 책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은 책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요소들에 관한 역사를 짚었습니다. 그러니까 책을 만드는 재료, 책의 본문과 삽화는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하는 문제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책의 형태는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하는 네 부문을 다루었습니다.

생각해보니 책을 만드는 재료, 그러니까 점토, 파피루스, 양피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종이를 사용해서 책을 만들던 역사적 흐름을 짚은 <종이의 역사>를 읽은 기억이 있습니다. 종이를 처음 만든 중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를 거쳐 전해진 일본의 종이제조 현장까지 챙겼으면서도 종이의 발전에 우리나라가 기여한 부분에 대한 언급이 없어 분노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그런데 <책의 책>을 읽으면서도 저자가 서양중심의 시각으로 책을 만드는 과정에 대한 역사를 다루었구나 싶은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어 내내 찜찜한 느낌이 남았습니다. 책을 만드는 재료 가운데 파피루스와 양피지를 다룬 분량에 비하면 종이에 대한 내용은 그리 많지 않은데다가 중국에서 종이를 처음 만든 과정에 관해서도 모호한 입장을 취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동양의 종이와 서양의 종이의 쓰임새가 달랐다는 점에 대하여도 별 언급이 없었습니다. 중국의 제지기술이 서양에 전해진 다음에 지금의 종이로 발전해온 과정에 무게를 두었던 것입니다.

책의 본문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수도원을 중심으로 한 필경에 할애한 부분에 비하면 동양에서 발전해온 목판인쇄의 발전과정에 대한 언급은 초라할 뿐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세계 처음으로 금속활자를 개발했다는 사실은 언급조차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구텐베르크의 업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입니다. 사실 책을 만드는 방법도 활자를 이용한 활판인쇄도 있고, 오프셋인쇄, 스크린인쇄, 잉크젯인쇄 등을 거쳐 레이저인쇄에 이르고 있는 실정이지만, 최근의 인쇄술의 발전과정은 생략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유럽역사에 관한 내용도 사실대로 정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서로마제국의 멸망의 원인이 된 게르만족의 대이동에 관하여도 4세기 중반 고트족이 발칸반도에 들어와 정착한 것으로부터 이야기합니다. 동고트족, 서고트족, 반달족, 프랑크족, 롬바르드족, 부르군트족 등 게르만민족의 대이동을 촉발한 것은 아시아계인 훈족이 서진함에 따라 밀려난 게르만족이 로마제국의 변경을 따라 이동하다가 결국에는 로마까지 쳐들어가고 종국에는 멸망에 이르게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과 한국의 인쇄물을 제작연대가 분명치 않다고 하면서도 일본의 쇼토쿠 천황이 불교경전을 100만부나 인쇄했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옮기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근세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에서 서적들을 수입해간 것으로 알고 있는데, 770년에 이토록 어마무시한 출판사업을 해냈다고 하면 누가 믿겠습니까?

책의 말미에 붙인 더 읽을거리를 비롯하여 미주로 처리한 근거자료, 도판자료 등의 목록을 정리한 쪽수가 100쪽을 넘어가는 것을 보면 저자가 방대한 자료를 검토한 것은 분명하나, 자료로부터 핵심내용을 추려서 정리하지 못하고 중언부언하는 느낌에 무엇을 읽었는지 남는 것이 없을 지경입니다. 서두에 ‘이것은 책에 관한 책이다’라는 구절을 만나면서 기대 속에서 책읽기를 시작했으나 결과는 실망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