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도 아닌 것이 이렇게 흡입력이 있다니...
한번 손에 잡고 끝까지 쭈욱 읽을 수밖에 없었다.
오~ 그렇지 그렇지 재밌네 하다가, 예상치 않은 곳에서 눈물 콧물이 터졌으니 바로 8장 착한 딸에서였다. 그 전 6장 혼자여도 괜찮은 사람에서 나는 왜 혼자여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마음이 스멀스멀 올라왔었는데, 그 마음이 8장에서 터져 버린거다.
작가의 아버지는 내가 우리 아빠에게 원한 딱 그런 모양으로 작가를 사랑해 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결국 혼자가 괜찮아지고, 결혼을 하고, 자기가 원하는 방식대로 살 수 있었던 건, 그렇게 믿어주고 사랑해 주는 아버지가 있었기 때문이었으리라...
이 나이들어 부모 탓하는 건 정말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내가 여태 혼자인 걸 두려워하고, 마음 깊숙이에선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을 거라 믿고, 어디에서나 쉽게 긴장하며, 나이 많은 남자들을 매우 불편해 하지만 한편 그들의 인정을 받고 싶어하는 사람이 된 건 다 한 번도 사랑을 표현해 주지 않은 아빠 탓이다.(탓해버렸네;;;;) 그만큼 아빠의 사랑이 너무 받고 싶었던 거다. 그냥 자식이기에 받는 무조건인 사랑말이다. 하여, 작가에 대한 부러움인지 나에 대한 연민인지 가슴 속 깊은 곳에서 뭔가가 차올라 눈물 콧물 쏟으며 한참을 울었다. 야심한 시각에 이게 뭐하는 짓인지, 원.. (이 책에도 언급됐듯이 맘껏 울 수 있는 나의 공간이 있다는건 정말 감사하다. 대한민국의 대출 시스템과 은행에 감사를...)
딸 둘이 이미 태어났고, 아들을 너무 기다렸던 아빠는, 태몽으로 용꿈까지 꾸신 후, 셋째는 아들이라는 백프로의 확신을 갖고 나의 탄생을 기다리셨다 한다. 그러나 용꿈을 비웃기라도 하듯, 나는 딸이었고, 아빠의 실망감은 이만저만이 아니었으리라...
태어나면서부터 환영 받지 못한 존재. 그게 나의 자존감이 낮은 이유라는 걸 알아내는 데도 한참의 시간이 걸렸다. 안다고 나아지면 참 좋으련만... 그게 그렇지가 않아서 난 늘 누군가의 사랑을 집요하게 바랐고, 이래도 사랑할래? 이래도? 하면서 그 사랑을 시험했다. 사실 이건 이래도 제발 나를 사랑해줘 하는 처절한 몸부림이었지만, 질린 상대는 도망가기 마련이었고, 이봐 나를 사랑하는 사람은 없어라는 내 안의 믿음은 더욱 견고해져 갔다.
이 책을 읽으며 처음으로 생각해 봤다. 나에게 아빠는 무서운 사람, 언제 화를 낼지 몰라 불안하고 피하고 싶은 사람이었는데, 아빠에게 나는 어떤 딸이었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