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적 글쓰기 - 열등감에서 자신감으로, 삶을 바꾼 쓰기의 힘
서민 지음 / 생각정원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체로 오해에서 비롯되는 일이지만 이따금 대필을 부탁받는 경우가 있다. 틈만 나면 열심히 책을 읽는 덕에 남들 보기에 나는 글도 잘 쓰는 사람이려니 하는 선입견을 여러 사람의 머리에 각인시켜 놓았나 보다. 일부러 한 짓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그런 터무니없는 생각을 갖게 했다면 이 자리를 빌려 죄송하고 송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본의가 아니었다는 말과 함께...

 

앞에서도 말했듯이 나는 일 년에도 몇 번씩 '이러이러한 주제로 짧은 글 하나 써줄 수 있겠나?'하는 말이나 그와 비슷한 부탁을 자주 듣는 까닭에 그에 대한 변명이나 완곡한 거절의 표현을 한두 마디쯤 늘 준비하고 다닌다. 이를테면 '저를 그렇게 좋게 봐주신 것은 감사하나 저는 사실 글을 쓸 줄 모릅니다.'로 시작하여 이차저차한 이유로 책을 좋아하게 되었다는 것까지 내 인생 전반에 대한 이야기로 흐르는 경우도 적지 않지만 재주도 없는 놈이 덥석 떠안았다가 뒷감당도 하지 못하고 쩔쩔 매는것보다야 낫지 싶어서 글을 대신 쓰는 일만큼은 철저히 거절한다.

 

그러나 거절하지 못하여 어쩔 수 없이 떠안는 일도 더러 있다. 몇 날 며칠을 끙끙대며 썼음직한 글을 내게 들고와서는 적당히 고쳐달라고 막무가내로 떠맡기는 경우이다. 그들의 부탁은 대개 '책을 많이 읽는 사람이니 나보다는 낫겠지'하는 식으로 선제공격을 함과 동시에 내가 무르춤하며 거절의 말을 내비칠라면 '엉성해도 괜찮으니 고쳐만 주게' 일침을 가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그렇게 억지로 맡은 일을 처리하자면 나 또한 몇 날 며칠을 고생해야 한다. 그야말로 사서 하는 고생이 아닐 수 없다.

 

그런 일도 한가하고 여유가 있을 때면 그럭저럭 할 만하지만 남의 돈을 먹고 사는 사람이 어디 그렇게 마음 놓고 유유자적할 수 있는 시간이 많아야 말이지... 아무튼 나는 그렇게 맡은 일을 한껏 뒤로 미루다가 이 일 저 일이 한꺼번에 닥치는 바람에 부랴부랴 서두르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럴 때 드는 생각은 늘 한결같다. '아, 글을 좀 더 잘 쓸 수 있었더라면 좋았을 텐데...' 매번 나는 그렇게 생각하면서도 글쓰기 관련 서적을 읽을 생각은 도통 하지 않았다. 이 무슨 똥배짱인지 모르겠다. 그와 같은 책을 읽는다고 없는 재주가 갑자기 튀어나올 리 만무하다는 생각도 있었지만 글쓰기에 관한 상식 일변도의 그렇고 그런 내용일 것이라는 지레짐작이 컸기 때문이다.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가 쓴 <서민적 글쓰기>를 읽게 된 것은 지인의 권유에 등 떠밀리다시피 한 일이었다. 모 인터넷 서점의 파워블로거로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아는 나로서는 책을 읽기도 전에 약간의 열등의식이 들었던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대학시절 저자의 글쓰기 경험으로부터 시작되는 이 책은 의외로 술술 읽혔다.

 

책은 독자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 그렇게 느꼈던 것은 아마도 저자의 경험을 줄기차게 언급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서울대 의대 재학 시절 소심한 성격과 외모 콤플렉스를 극복하고자 글을 쓰기 시작했다는 저자는 자신의 책을 몇 권 출간했으나 모두 말아먹었을 뿐만 아니라 그래서 더 혹독하게 글쓰기 연습을 했음을 고백한다.

 

"짬날 때마다 책을 읽는 경우가 더 많았지만, 소재가 생각날 때마다 글을 쓰다 보니 한 달도 안 돼 노트를 바꿔야 할 정도였다. 노트가 한 권 두 권 쌓여갈 때마다 글쓰기 실력도 나날이 상승하는 느낌이었다. 그맘때 "내가 나중에 유명작가가 되면 글쓰기 연습한 이 노트들도 값어치가 올라가겠지?" 하는 상상을 즐겨하곤 했다. 그런 생활을 7년쯤 하자 학교에 있는 내 캐비닛은 다 쓴 노트로 가득 찼다." (p.126)

 

내가 특히 관심을 두고 읽었던 부분은 이 책의 마지막쯤에 실려 있는 '서평은 어떻게 쓰는가'였다. 나도 이따금 책을 읽은 후 나의 블로그에 서평이랍시고 어설프기 짝이 없는 글을 가끔 남기기 때문이다. 나는 사실 어떤 체계가 있는 글쓰기보다는 내 나름대로의 막무가내식 글쓰기에 익숙해져 있지만 기회가 되면 깔끔하고 멋진 글을 한두 편쯤 써보고 싶다는 욕심도 있다. 그것은 책으로 내고 못 내고의 문제가 아니라 나 스스로 만족할 수 있는 글을 써보고 싶다는 작은 갈망인 셈이다. 칼럼과 서평을 위주로 글을 써왔던 저자는 서평을 잘 쓰는 비결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우선 편하게 쓰고, 스포일러를 조심하고, 자기주장과 책 인용을 구별하고, 모르는 이야기는 쓰지 말고, 지나친 권장은 피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내 생각은 저자와 조금 다르다. 글쓰기 실력이 연습을 통해 극복되고 향상된다는 것은 부정하지 않지만 끌리는 글을 쓸 수 있는 능력은 연습만으로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소설과 같은 장문(長文)이 아닌 서평이나 일기 형식의 단문(短文)을 위주로 쓰는 일반 블로거의 입장에서 '기-승-전-결'의 구성에 맞춰 글을 쓰는 것은 그리 오래 연습하지 않아도 충분히 익힐 수 있는 기술이다. 그렇다고 누구나 다 재미있는 글을 쓸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자가 없는 글을 쓰는 것만으로는 2% 부족한 셈이다. 그것은 바로 필자의 경험이다. 자신의 경험이 녹아 있지 않은 글은 아무리 잘 쓴 글일지라도 재미가 없다. 그것은 단지 낱글자의 배열에 불과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등대지기 2022-07-11 21: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며칠전에 꼼쥐님 서재를 알게 되었는데요,
저는 써주시는 글이 무척 재미있어서 틈나는대로 읽고 있어요...!
막문단을 읽으니 대답(?)하고 싶은 마음이 불쑥 올라와서 댓글 남겨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