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미세먼지 탓인지 목 안이 칼칼하고 가슴이 답답하지만 요 며칠 푸근한 날씨가 이어졌습니다. 이제 내일 하루만 지나면 2014년은 과거의 기억 속으로 영원히 묻힐 것입니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한 해를 잘 보냈다는 뿌듯함보다는 왠지 모를 헛헛함이 밀려오는 게 사실입니다. 처음과 끝은 항상 맞물려 돌아가는 것임에도 '처음'보다는 '끝'에 오랜 시간 눈길이 머물고 떨쳐버릴 수 없는 진한 아쉬움과 미련을 품게 마련이지요.

 

세월의 흐름은 몸보다 먼저 사람의 마음을 늙게 하나 봅니다. 까닭도 없이 불안하고 우울해지는 걸 보면 말입니다. 우리가 사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늙는다는 것, 한 살이라도 더 나이를 먹는다는 의미는 남보다 뒤처진다는 것, 쓸모없는 존재로 전락한다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더 심하게 말하자면 머지않은 미래에 폐기처분의 신세를 면키 어렵다는 것이겠지요. 그러므로 사람들은 자신이 늙어간다는 사실에 두려움을 느낀 나머지 조금이라도 젊어 보이기 위해 기를 쓰게 되는가 봅니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여사가 쓴 <오래된 미래>에는 이런 대목이 있습니다.

 

"라다크에서 늙어감은 죽음과 마찬가지로 자연 순환의 일부로 여겨진다. 흔히 한동안 떠나 있다가 오랜만에 라다크 친구들을 만나면 그들은 "지난번 보았을 때보다 많이 늙었네요"라고 말할 것이다. 그 말을 겨울에서 봄으로의 변화를 말하듯 아무렇지 않게 할 것이다. 그 사람들에게는 내가 더 늙어 보인다는 말을 듣기 싫어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지 않을 것이다. 라다크 사람들은 나이를 겁내며 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삶의 각 단계는 그 나름의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오래된 미래' 중에서)

 

나도 모르게 왠지 헛헛하고 쓸쓸해지는 이 즈음에는 의지가 될 만한 무언가가 절실해지곤 합니다. 그 대상이 가족이든, 연인이든, 좋아하는 음악이나 그림이든, 혹은 책이든 사람마다 다 다르겠지요. 다가오는 2015년에는 라다크 사람들처럼 평안했으면 좋겠습니다. 세월에 쫓기지 않고 느긋한 마음으로 살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나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말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