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 글을 남기는 것도 참 오랜만이다.

바쁘기도 했지만, 딱히 그 이유만으로 블로그 접속을 기피했던 것은 아니었다.  가끔 시답잖은 글을 블로그에 올리면서도 나도 모르게 댓글과 방문객 숫자에 눈길이 가는 내 자신이 언제부턴가 참 한심하다고 느껴졌다.  블로그를 팽개친 것도 아마 그때부터였을 게다.

 

블로그 접속을 끊으면서 평소에 잘 알고 지내던 교회의 작은 공간을 토요일 저녁에 두 시간만 쓰기로 하고 빌렸다. 나는 그 공간에서 교회에 나오는 중고생들을 대상으로 내가 갖고 있는 책도 빌려주고, '세상 사는 이야기'도 그들과 함께 나눌 작정이었다.  달리 마땅한 공간도 없었지만 내가 굳이 교회에 딸린 공간을 빌린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다.  천주교 세례를 받았지만 종교적 믿음이 강한 것도 아니요, 사상적 기반은 오히려 불교에 가까운 내가 그닥 인연도 없는 교회라니...   나는 기성세대의 한 사람으로서 개신교를 믿는 아이든, 천주교를 믿는 아이든, 혹은 불교를 믿는 아이든 간에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모든 아이들이 바르고 건전한 사고와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 중 교회를 선택한 것은 현 정권이 들어서면서부터 가장 많은 비난과 욕설을 들었던 종교가 바로 개신교이고, 그렇다면 그 종교를 믿는 아이들은 어떤 생각을 갖고있는지 내심 궁금했기 때문이었다.  나는 교회 예배에 참석하는 사람도 아니요, 잘 알려진 유명 강사도 아닌데 내 이야기를 듣기 위해 시간을 내어줄 아이들이 많지 않으면 어쩌나 하고 걱정이 많았었다.  그러나 나의 예상과는 달리 꽤 많은 아이들이 참석했고, 나는 그 아이들에게 선심쓰듯 책 한 권씩을 안겼다.

 

주중에는 아이들에게 영어, 수학을 가르치고 주말에는 교회에서 아이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나는 많은 것을 배웠다.  신자유주의 경쟁 논리에 밀려 공부 좀 못한다고 자신이 가치없는 인간이라는 생각에 사로잡힌 아이를 보았을 때는 말할 수 없는 분노가 솟구치기기도 했고, 그렇지 않다고 느낄 수 있도록 설득하고 다독여주지 못하는 내 자신이 답답하기도 했다.

 

나는 종교적 틀을 깨지 못하면 진리탐구는 불가능하다고 믿는 사람이다.  예수가 기독교를 만든 것도 아니요, 부처가 불교를 만든 것도 아니다.  진리탐구와 미지의 세계에 대한 경외를 갈망하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종교라는 틀을 짰고, 현대의 사람들은 그 틀에 갖힌 애완용 새가 된 느낌이다.  나는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새장 밖의 세상을 보여주고 그들에게 인간의지의 자유와 행복할 권리를 주고 싶었다.

 

지난 주말까지 기껏해야 세 번 강의를 했는데 쓰다보니 너무 거창해졌다.  아무튼 아이들이 행복한 나라가 진정한 복지국가가 아닐까 한다.  대한민국에 태어난 모든 아이들이 행복해질 수만 있다면 휴일을 반납한들 그리 아깝지 않을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