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의 루시 - 루시 바턴 시리즈 루시 바턴 시리즈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정연희 옮김 / 문학동네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떤 기억은 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백만 년 전의 그것처럼 아득하게만 느껴진다. 그런 기억들 중에는 아주 최근의 것들도 있고, 희미하게 닳고 닳은 아주 오래된 기억도 물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을 통과했던 기억도 내게는 아주 먼 과거의 그것인 양 아득하게 느껴지는 것 중 하나이다. 누구에게나 자신의 인생에서 처음이었을 그 이상한 경험이 왜 그토록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것일까. 치료제도 백신도 없이, 단지 개인의 위생과 격리를 무기로 감염의 공포와 싸워야 했던 그 길었던 시간이 왜 그토록 아득하게만 느껴지는 것일까. 마치 나의 인생에서 존재하지 않았던 어떤 시간을 내 인생의 빈 시간에 억지로 욱여넣은 것처럼.


"그리고 나는 또한 깨달았다. 슬픔은 혼자만의 것이라고. 맙소사, 슬픔은 혼자만의 것이다."  (p.66)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 <바닷가의 루시> 역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뉴욕을 배경으로 한다. 나는 사실 연작 소설처럼 이어지는 스트라우트 식 소설 작법을 좋아한다. 주인공도, 시공간적 배경도 이전 작품과는 전혀 다른 단행본을 선호하는 독자도 있겠지만, 나는 그렇지 않은 축에 속한다는 얘기다.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을 읽고 있는 시간만큼은 나의 인생도 영원히 끝날 것 같지 않은, 불멸의 삶을 부여받은 느낌이 드는 것이다. 나는 그렇게 죽음이나 끝에 대한 두려움 없이 오롯이 소설 속에 머물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안온한 느낌 때문에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을 계속해서 읽게 되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여기저기 돌아다녔다는 것, 그게 내가 말하려는 것이다. 날씨는 점점 좋아지고 있었다. 물질적인 세상이 우리에게 손을 펴 보이는 듯한 느낌이 존재했고, 그것은 아름다웠다. 그리고 도움이 되었다."  (p.170)


<오, 윌리엄!>의 후속작이자 '루시 바턴' 시리즈의 최신작인 <바닷가의 루시>는 주인공인 루시와 그녀의 첫 남편인 윌리엄이 당시 만연했던 뉴욕의 바이러스를 피해 한적한 바닷가의 집으로 가게 되면서 일어난 일을 그리고 있다. 말하자면 바이러스의 위험을 감지한 윌리엄이 아무것도 모른 채 위험천만한 생활을 하고 있던 루시를 돌보기 위해 메인 주에 있는 밥 버지스 소유의 바닷가 주택을 임대하여 루시와 함께 자가 격리에 들어가는 것이다. 미국 북동부 국경지대의 해안가에 위치한 메인 주는 동부 도시 주민들의 여름 휴양지이지만, 대개의 휴양지가 그렇듯 휴가철을 제외하면 인적이 끊기고 항구도시 특유의 회색빛 거친 바람이 부는 을씨년스러운 곳이다. 소설 속 주인공 루시도 이곳에서 심한 고립감을 느낀다.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내 마음은 이 상황을 받아들이기가 힘들었다. 하루하루가 내가 걸어가야 하는 넓은 빙판길 같았다. 그리고 그 빙판에는 붙박인 작은 나무들과 잔가지들이 있었는데, 그것이 내가 그 풍경을 묘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세상이 다른 풍경이 되어버린 것 같았고, 나는 이 상황이 언제 끝날지 알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견뎌야 했다. 그리고 그것은 끝나지 않을 것 같았고, 그래서 나는 큰 불안감을 느꼈다."  (p.83)


한없이 서먹한 관계일 수 있는 두 사람(루시와 윌리엄)은 고립된 생활 속에서 지난날을 떠올리고,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며,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두 딸들에 대해 끝없이 걱정한다. 고립된 삶이 두 사람에게 꼭 나쁘게만 작용한 것은 아니어서, 유년시절 가난과 폭력 속에서 성장했던 루시는 그녀처럼 가난하지는 않았지만 불행한 유년시절을 보냈던 집주인 밥 버지스를 통하여 사별한 남편 데이비드에 대한 상실감을 위로받기도 한다.


"그러자 밥이 말했다. "당신은 인간의 마음에 대해서는 바보 같지 않잖아요., 루시. 그리고 나는 당신이 세상일에 바보 같다고도 생각하지 않아요." 그가 말을 중단했다가, 이어 말했다. "하지만 당신이 무슨 말을 하는지는 알겠어요. 나도 좀 그런 경향이 있거든요.""  (p.117)


루시의 말처럼 슬픔은 혼자만의 것이지만 우리는 슬픔 속에서 타인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나와 비슷한 종류의 슬픔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세상에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흔하다는 걸 깨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팬데믹이라는 거대한 불안과 공포를 겪어내는 동안 우리들 각자의 나약함을 확인했고, 서로의 등에 닿는 누군가의 체온이 언제나 필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그것은 공포에 저항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 사랑이라는 사실을 현실에서 깨닫게 해 준 하나의 기회이자 창구였다.


"이 나라에 깊고 깊은 불안이 존재하고, 시민전쟁이 일어날 거라는 소곤거림이 내가 뚜렷이 느낄 수는 없어도 감지할 수 있는 미풍처럼 내 주변을 휘도는 것 같은 환시. 우리는 아이스크림을 받아 그곳을 떠났고, 내가 윌리엄에게 무엇을 느꼈는지 말하자 그가 "나도 알아" 하고 말했다. 그것이 내게 머물렀다. 그날 저녁에 내가 받았던 그 느낌이."  (p.218)


혹자는 그날이 그날 같은 일상을 끊임없이 반복해서 기록하는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이 지겹지도 않으냐고 묻는다. 다른 누군가는 특별한 사건도 없이 잔잔한 일상을 기록한 일기장을 몰래 훔쳐보는 느낌이 들어서 스트라우트의 소설을 좋아하는 게 아니냐고 묻는다. 나의 생각은 다르다. 작가가 구축한 소설 속의 견고한 질서와 배경, 그 속에서 펼쳐지는 반복적인 일상은 늘 크고 작은 불안에 시달리는 현대인에게 안심과 위로를 선사하는 까닭이라고. 적어도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의 소설을 읽는 동안은 불안하지 않다고. 소설을 읽고 있는 그 시간에는 우리에게 예정된 죽음도 아주 멀게만 느껴진다고. 작가는 그렇게 특별하지 않은 방식으로 우리를 위로하며 다독이고 있다. 나는 어쩌면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에게 중독되었는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