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롭지만 힘껏 인생을 건너자, 하루키 월드
장석주 지음 / 달 / 201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기억이 의식과 무의식으로 나뉜다면 의식 또한 타인에게 언제든 밝힐 수 있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눌 수 있겠다. 굳이 명명하자면 '백색 의식'과 '흑색 의식'쯤으로 말할 수 있으려나. 그것이 어떻게 이름 붙여지든 간에 '흑색 의식'은 내 기억은 또렷하지만 타인에게 밝힐 수 없거나 밝힐 필요가 없는 것들, 이를테면 타인에게 밝혔을 때 나나 다른 어느 누구에게도 실익이 없는 것들은 우리의 삶에서 생각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것은 마치 우주의 구성 물질로 추정되지만 아직 우리에게 알려지지 않은, 이른바 암흑 물질의 존재와 크게 닮아 있다. 나의 의식에서도 그러한 기억들은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불필요한 것들이니 차라리 무의식의 영역으로 자리 이동을 했으면 싶지만 그게 어디 내 뜻대로 쉽게 옮겨 갈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인간이란 입이 방정인 경우가 많은지라 의식의 세계에서 떠도는 기억들은 언젠가 실익도 없이 누군가에게 떠벌려지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이 수시로 들게 마련이고.


"하루키 소설은 우리 안의 노스탤지어를 자극한다. 노스탤지어는 기억의 내밀한 삶에 가닿으려는 불가능한 욕망이고, 혹은 욕망이 품은 욕망의 불가능함이다. 노스탤지어는 잃어버린 것을 향한 오마주이다. 따라서 그것은 감미로운 슬픔을 동반한다. 노스탤지어는 가리키는 최종 목적지가 과거 - 미래이고, 예전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없는 장소이다. 사라진 시간과 없는 장소에 가닿으려는 불가능으로 부풀어오른 욕망이라는 점에서 그것은 늘 좌절의 슬픔으로 귀결되는 것이다."  (p.54)


시인이자 장서가로 잘 알려진 장석주 작가의 책 <외롭지만 힘껏 인생을 건너자, 하루키 월드>는 꽤나 매력적이다. 물론 하루키의 책에 관심이 없거나 하루키가 쓴 어떤 소설이나 에세이도 읽어본 적이 없는 사람에게는 이 책 역시 따분하기 짝이 없는 그런 책일 수밖에 없겠지만 말이다. 이상하게도 일본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하루키에 대한 평은 극과 극으로 나뉜다. 하루키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종종 하루키 소설의 선정성이나 가벼움 등을 들어 공격하곤 한다. 반면에 하루키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소설의 내면에 깔린 독자적인 세계, 즉 '하루키 월드'에 대해 열광한다. 양자 사이의 접점은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하루키의 작중인물이 보여주는 비사회성은 의미심장하다. 그들은 사회에 편입되지 못한 채 혹은 편입되기를 거부하며 바깥으로 미끄러지며 익명으로 떠돈다. 그들은 메마르고 사악한 현대사회를 떠도는 익명의 표류자다. 고도자본주의 세계는 잃어버린 낙원의 대체물이다. 그것은 매혹이자 혐오의 세계다. 어느 날 예기치 않게 평범한 일상성의 바깥으로 한걸음 내딛는 그들은 이내 엄청난 수상한 사건 속으로 빠져들어간다. 그때 펼쳐지는 비현실적 모험의 연쇄는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회귀의 여정이다. 하루키의 소설을 읽는 일은 바로 자아로의 회귀의 여정을 되짚어보는 일이다."  (p.131)


나는 딱히 읽고 싶은 책이 없거나 독서 권태기에 접어들 때마다 하루키의 책을 읽곤 한다. 하루키의 책이 좋은 이유는 여러 가지로 많지만 그중 하나는 아무 생각 없이 책에 빠져들 수 있다는 점이다. '레드썬' 하고 외치면 금세 최면에 빠져드는 것처럼 말이다. 장석주 시인은 '봄날 햇볕 아래서 무릎 위에 책을 올려놓고 읽으면 행복해질 작가를 꼽자면 나는 망설이지 않고 하루키를 꼽겠다.'고 한다. '하루키 소설을 맛있는 빵을 조금씩 떼어먹듯 읽었다'는 시인의 심정을 나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아무리 뛰어난 작가라도 마음만 먹는다고 뚝딱 내놓을 수 있는 게 소설이 아니다 보니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은 언제나 목을 빼고 기다리게 되는 법이다. '테드 창'이 그렇고 앤드루 포터'가 그렇다. 너무 아쉬워서 아껴가며 읽다 보면 때로는 감질이 나서 참지 못하고 후루룩 다 읽어버리는 경우도 있지만 그럼에도 다음 작품에 목이 마르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소설에 맛이 있다면 하루키 소설은 봄날 햇빛의 맛이다. 그것은 상큼하고, 아릿하고, 슬프고, 허무하고, 웃음을 짓게 하는 복잡한 맛이다. 반쯤 감은 눈의 속눈썹에 엉기는 햇빛 알갱이의 찬란함! 하루키 소설의 인상은 그런 것이다. 그의 소설엔 살아 있음이 주는 기쁨과 상실로 빚어진 비애, 그리고 적당량의 멜랑콜리가 버무려져 있다. 그것은 밝되 슬프게 빛난다."  (246)


1979년에 쓴 무라카미 하루키의 첫 소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에 나오는 한 구절 "모든 건 스쳐지나간다. 누구도 그걸 붙잡을 수는 없다. 우리는 그렇게 살아가고 있다."를 가만가만 되뇌다 보면 저 너른 벌판을 건너온 바람이 나의 빈 가슴속을 통과하여 영원의 품으로 안길 것 같은 느낌이 들곤 한다. 살면서 용서하지 못할 것도, 굳이 내려놓지 못할 욕심도 하루키의 책을 읽는 이 순간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만 같다. 사는 게 별것 아니라는 생각이 무작정 들었던 것도 하루키 소설 덕분이었는지도 모른다. 어쩌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